[학술논문] 경제교류와 안보협력 사이에서: 정체된 대중 인식의 결정요인 분석(2003-2013)
수교 이후 20여 년간 한중관계의 눈부신 발전은 다양한 사회과학적 질문을 제기하여왔는데, 무역규모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한국 시민들의 대중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정체되어 있는 역설적 현실에 대해서 다양한 경험적 분석이 시도되지는 않았다. 그동안 몇몇 경험적 연구들이 시도되어왔지만, 이들은 짧은 시기만을 대상으로 하는 스냅샷 분석의 문제, 대중인식이라는 종속변수의 조작화의 문제 등과 같은 난점들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서 이 연구는 2003-2013년에 걸친 비교적 긴 기간 동안의 대중인식의 정체현상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종합사회조사의 국가호감도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첫째, 북한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가 중국 인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둘째 전쟁을
[학술논문] 2000년대 분단영화의 남성인물 관계 및 공간 표상 -<공동경비구역 JSA>, <의형제>, <공작>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00년대 등장한 다수의 분단영화 중에서 간첩영화와 남성 버디무비의 성격을 띤 세 편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박찬욱, 2000), <의형제>(장훈,2010), <공작>(윤종빈, 2018)을 중심 텍스트로 하여 남북 남성주인공의 관계 변화와 주요 공간적 배경의 차이와 상징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동경비구역 JSA>는 2000년대 분단영화의 서막을 연 작품으로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남북관계를 제시한다. 남북한 병사들이 비무장지대에서 만나 친구가 되고 북한군 초소에서 어울리는 것이다. <의형제>는 북에서 버림받은 남파 간첩이 생계형 간첩으로 살아가며 국정원에서 버림받은 전직 남한 요원과 동업을 하는 이야기다. 친구에서 형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