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재난경험, 재난인식 및 지각된 재난 스트레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경험, 재난인식과 스트레스를 조사하여 재난경험에 따른 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고 재난 간호역량 향상을 위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을 편의표집한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27.8%가 재난을 경험하였고 태풍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재난인식과 스트레스 평균은 각각 3.2점, 5.7점이었고 재난경험 집단이 유의하게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재난교육 내용에 자연재해와 같은 일반적인 주제 이외에 북한도발에 대처하는 내용과 같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반영한 주제와 자연재난 회복력에 대한 내용이 간호교육과정에 포함되는 것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북한주민의 재난 및 재난관리 인식에 대한 연구
오늘날 현대사회는 자동적이며 보이지도 않는 위험과 재난이 일상화된 ‘위험사회(risk society)’로 규정된다. 북한의 경우 이와 같은 위험사회적요소 뿐 아니라 높은 위험 추구, 긴급구조체계의 미비, 관료의 부패, 체제와 이념의 경직성, 국가주도의 돌진적 성과추구 경향 등 전근대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북한 사회를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 재난으로 인한 북한의 피해와 이로 인한 주민들의 이탈 현상은 안보적, 경제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북한 주민의 이탈과 이들의한국 및 국제사회로 유입은 북한 체제의 정통성의 약화를 초래하는 한편, 수용국가들의 안보⋅경제⋅사회 등 제반 측면에서 갈등과 부담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현실인식에 기초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