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응
...추출되었다. 제 1군은 정서적 불안정성과 부정적 정서성(높은 예민성, 불안성, 자책성)을 주요 특성으로 하고 있다. 제 2군은 적절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남한사회의 규범이나 규칙을 지키는 것을 불편해하거나 남한사회의 빠른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 3군은 정서적으로 안정적이고, 자아가 성숙되며, 적절하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맺는 것이 주요한 특성으로, 다른 두 군집에 비해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남한사회에 대한 적응정도도 높았다. 각각의 군집은 심리적응척도(자아정체감과 적응유연성)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여성새터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심리적·정책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술논문]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탈북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의 위험요인은 학업 관련 요인과 건강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은 사회심리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인 학업 관련 요인은 전공 정보 부족, 기초학력 부족, 남북한 교육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은 신분노출에 대한 불안과 염려, 열등감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으로 인한 위축감, 미래에 대한 불안감, 우울감과 무력감, 음주 문제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으로 나타난 사회심리 관련 요인은 사회적 지지와 유능감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중단을 예방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탈북대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은 물론이고 남한 사회문화에 대한 적응유연성 향상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9.64점이고, 여성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적 반추 및 적응유연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점수가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적응유연성, 긍정적 자존감, 의도적 반추로 설명력은 총 54.2%(F=29.36,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과 적응유연성 및 긍정적 자존감을...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적응유연성이 탈북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10세-25세)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