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슬람문화 내에서 태권도의 역할과 가치
이 연구는 시리아에서 16년 동안 민간 외교 사절단으로서 태권도를 직접 보급한 경험의 구술사적 내용을 토대로 철학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친북한 성향이 짙고 우리나라와 미수교국인 시리아의 태권도 보급은 태권도 수련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예의정신, 극기정신, 평화정신, 조화정신 등이 문화교차, 즉 문화충돌과 문화공존을 통해 이슬람 정신에 부합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문화가 다르고 종교가 다르고 정치적 성향에 차이가 있을지라도 태권도의 원형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용성을 발휘하는 것이 태권도의 전파에 성공적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도 되었다. 이슬람 문화는 알라신만을 섬기고 그 이외 누구에게도 허리를 숙여 인사하지 않는다. 알라신 이외에 허리를 굽히며 목례를 한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