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로동신문’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기사 분석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한 축을 대표하는 북한의 신문과 도서관이 무엇을 지향하는 지를 살펴보고 북한의 도서관이 어떻게 역사적․문화적으로 발전해 왔는가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의 국방부 직할부대 및 기관지인 로동신문과 북한 도서관의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 속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기사의 내용과 형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71년부터 2012년까지 노동신문을 검색한 결과, ‘도서관’ 관련 로동신문 기사 62건이 도출되었다. 이 62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하여 주제별․유형별로 분석하였고, 북한 도서관의 구체적인 활동들이 어떠한 형태와 방법으로 구현되어 왔는가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정보기술 교류를 통한 남북한 전자도서관의협력 가능성 연구
이 연구는 북한의 전자도서관 관련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남북한 도서관계의 협력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의 인터넷 환경과 원격 교육, 태블릿 PC를 활용한 전자도서관의 기능을 조사하였다. 다음은 보다 직접적으로, 북한이 대외적으로 자랑하고 있는 과학기술전당, 김책공업대학, 김일성종합대학, 인민대학습당 등에 속해 있는 전자도서관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전자도서관의 지향성을 살펴보고 그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방법으로써 남북한 도서관 간의 협력 가능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향후 남북한 도서관의 정보기술교류는 남북관계의 발전에 따라 그 방향과깊이가 결정되겠지만 우선 기존에 했던 사업, 또는 협의 중에 있던 사업, 그리고 우리 자체로 준비해야 하는 사업에 초점을...
[학술논문] 개정된 북한도서관법의 변화와 특징 분석
...재개정된 북한도서관법이 이전 1999년 북한도서관법과 비교하여 수정, 삭제, 신설된 조문들은 무엇인지를 신․구조문 대비표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1999년 개정된 북한도서관법은 총 5장 45조로 구성된 반면, 2012년 재개정된 북한도서관법은 제2장의 내용이 신설되어, 총 6장 58조로 개편되었다. 주요 변화와 특징은 정보서비스 환경 변화에 따른 전자도서관과 전자출판물 관련 조문들이 신설, 수정되었고, 도서관 직원의 양성과 관련된 조문들이 신설되었다. 결론과 제언에서는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원격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 콘텐츠의 상호교류, 남북 사서의 정보서비스 협력 체제 구축, 북한도서관 관련 전문 연구인력 양성 등 향후 남북한 도서관 간 교류협력에 있어서 상호 논의 가능한 주제와 분야를 논의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에 관한 질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살피고 향후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연구 데이터베이스 한국학술정보원(KISS), 국회전자도서관에서‘북한이탈주민’,‘새터민’과 ‘진로’,‘직업’을 키워드로 하여 교차 검색하였고, 총 20편의 질적연구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기초사항(연구출처와 연도별 논문수,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자 영역), 질적연구 방법별 설계 현황, 질적연구 내용 분석을 하였다.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석에서는 간헐적이지만 북한이탈주민의진로에 관한 질적연구물의 출판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질적연구 방법별 분석결과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