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한반도 통일안보전략으로서 제4세대 전쟁이론 연구
...한반도의 통일문제를 풀기 위하여 이 연구는 제4세대 전쟁에서 그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많은 학자들이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현대의 전쟁은 123세대를 거쳐 이제는 제4세대 전쟁으로 진입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분명히 지금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크고 작은 전쟁들은 걸프전 이후 예상했던 첨단무기에 의한 재래식 전쟁의 모습은 아니다 제4세대 전쟁을 체계화한 햄즈는 “제4세대 전쟁은 상대방의 정책 결정자들에게 그들의 전략적 목적이 달성 불가하거나 자기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익보다는 손해가 더 크다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해 모든 가용한 네트워크2013;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군사적2013;를 사용하는 전쟁이며, 이는 분란전의 진화된 형태이다”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전쟁은 이전의...
[학술논문] 한반도의 전쟁/평화-정치와 동맹, 그리고 북핵 위기 : 자기준거적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미국과의 전쟁 수준까지 밀고 갔고, 결국 북한의 핵개발 포기와 안전보장, 북미관계 정상화에 합의해 해소되었다. 비록 6자회담이 다자국 협력 틀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평화협정 체결 논의를 병행하는 구조를 만들어냈지만, 2차 북핵 위기는 북한의 핵공격 위협과 유엔 제재가 수차례 반복되었고, 전쟁체계가 작동했다. 3차 북핵 위기도 핵공격 위협과 유엔 제재의 반복적 순환이 폭력의 강도를 강화했다. 세계 정치는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고, 전쟁체계가 재작동했다. 남한은 북핵 위기와 한반도 평화과정에서 미국에 의해 배제되면서도, 또한 남북교류와 평화협력에 대해 북한과 합의하면서도, 미국•유엔의 대북한 제재에 이의제기나 저항 없이 참여한다. 남한이 선택하지 않을 행동을 하게 만드는 강대국 우선성의 2차적 구조가 역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