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우 전쟁의 대(對) 북한 교훈과 한국의 대응방안: 항공우주작전을 중심으로
...교훈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요소는 상호 결합하여 미래 북한의 군사력 발전을 야기함으로써 한국군의 안보에 심각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하기에 북한이 러-우 전쟁에서 얻은 이익과 교훈을 분석하는 것은 가장 한국적인 전훈분석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러-우 전쟁에 대한 전훈분석의 일환으로 해당 전쟁을 통해 북한이 무엇을 획득하였고, 무엇을 배울 것인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여타 영역에 비해 그 연구가 미진하였던 항공우주작전 분야를 중심으로, 북한이 획득한 4가지 전훈 요소들이 그들의 항공 및 방공전력에 대한 구성과 운영을 어떻게 변모시킬지 가늠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대한민국 공군의 변화 및 발전 방향에 대해 간략히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6·25전쟁 시 중국인민지원군의 전훈분석과 抗美援朝戰爭的經驗總結 편찬 : 1950년대 중국의 전훈분석집 편찬과 정치적 배경
본고는 중국인민지원군이 6·25전쟁 당시 한반도에서 작성한 전훈분석을 살펴보았고, 1956년 내부문건으로 발간한 抗美援朝戰爭的經驗總結의 편찬배경 및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전훈분석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작전 및 전투의 승패를 좌우하며, 나아가 전쟁에큰 영향을 미치는 필수불가결한 중요한 자료이다. 6·25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도 ‘總結’이라고 부르는 전훈분석을 통해 한국군과 미군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이에대한 공격 및 방어계획 등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북한노획문서(NARA RG242)에서 확인되는 지원군의 전훈분석 문서들을 소개함과 동시에 지원군이 한반도 전장에서 전훈분석을 얼마나 중시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지휘부들 간에 오고갔던 명령 및...
[학술논문]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얻은 교훈과 미 육군의 주요 교리변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을 연구하여 미래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실질적이고 객관적인 전훈을 도출할 수 있을까? 신문이나 TV 등의 언론기사, 인터넷이나 SNS에 공개된 자료를 통해 전훈을 도출하는 것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전쟁에 직접 참전하거나 전훈분석단을 보내지 않는 한 정확한 분석은 제한된다. 우리 군의 입장에서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미군과 나토와 같이 전쟁을 실질적이고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국가의 공식적 전훈분석 자료와 그 자료를 통해 발전시킨 교리를 참고하는 것이다. 미군은 2014년 이후 육군 교육사령부에 러시아의 차세대전 연구팀을 편성하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분석하고 전훈을 도출하여 교리를 개선하였다. 특히 작전적 수준의 교리는 2022년 FM 3-0 작전(Operations)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