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경제력 신장이 북한 및 접경국가들에 미친 영향의 비교분석
...크게 의존하는 문제는 접경국가들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유사하게 발견된다. 그럼에도 북한의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적 의존은 경제발전의수준이 낮은 여타 접경국가들과 비교하더라도 지나치게 높은 상태이고 최근의북⋅중 경제관계는 비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광물자원 위주의 대중 수출구조와 외자유치로 인해 북한경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이다. 중국의 여타 접경국가들과는 달리 북한이 경제개혁과 대외개방에 적극적이지 않는 상황에서 대중 경제교류가 급증하면서 북한지역이 중국경제의 주변부 로 기능하는 구조가 심화되고 있다. 북한의 대중 경제관계와 접경국가들과의비교연구는 북한경제 실태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중국의 경제력확산이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이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환동해권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다자협력을 통한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의 활성화와 확대 가능성 모색
...러시아가 접하는 두만강 유역은 1991년부터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제협력 방안 가운데 하나로 동북아 소지역계획회의(Northeast Asia Sub-Regional Program Meeting)에서 개발계획을 구체화한 지역이다.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는 미미하지만 오늘날 두만강 유역 개발계획은 북한, 러시아, 중국과 같은 접경국가뿐 아니라 한국, 일본, 몽골과 같은 인접 국가들도 협력과 참여를 모색하는 전략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만강 협력’에서 출발하여 ‘환동해 협력’으로 확대하여 추진하는 다자협력 방안의 활성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 문제는 동북아 지역의 경제적 발전을 추구하는 협력체제로서 뿐만 아니라 이 지역에 잔존하는...
[학술논문] 중국 일대일로 참여국의 위협요인과 메카니즘: 중국 접경국가의 인프라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일대일로에 참여한 중국의 접경국가가 받는 위협요인과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대일로의 기본원칙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의 14개 접경국 중에서 일대일로의 6개 경제회랑에 참여한 국가는 인도, 부탄, 아프가니스탄, 북한을 제외한 10개국이다. 일대일로의 수용국이자 중국의 접경국이 받았던 위협요인과 쟁점을 경제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류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경제적 위협요인은 부채증가, 에너지 자원 송출, 채무불이행 혹은 상환조건으로 토지 및 운영권 양도, 중국 특색의 일대일로 사업방식과 불공정 계약으로 인한 불이익이다. 정치적 위협요인은 현지 관료의 부정부패 및 금품매수, 보복조치, 국가주권 및 영토 침해, 갈등조장 및 군사위협과 견제, 지리적・전략적...
[학술논문] 중국 선전과 북한 나선 경제특구의 비교 연구:제도 구축과 확장성을 중심으로
본고는 중국 선전과 북한 나선경제특구의 특성과 전개과정을 비교 분석해 이론 및 정책 함의를 모색한다. 구체적으로 두 경제특구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지도자의 정치적 리더쉽, 법적 제도의 차이 그리고 접경국과의 연계성 등을 비교한다. 기존 연구는 횡단적 관점에서 양 경제특구를 단순 비교를 시도해 발전과정의 중요성을 간과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는 최근 중국 동북3성에서 추진되는 초국경 지역발전전략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의 하나인 중・몽・러 경제회랑과 북한 나선경제특구와의 연계에 주목해 향후 이 경제특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중국의 경험에서 비쳐본 외국투자를 북한 경제특구의 성공 조건으로서 외국투자의 견인하는 요인인 정치적 지도력 및 제도구축 및 이행뿐만 아니라 대내외적 연계가 중요함으로 다자간 협력체제가...
[학술논문] 코로나시기 동북아접경지대에북한노동자의 고용위협-체류와 송환
본고는 코로나시기에 북한과 근접한 중국 동북 3성과 극동 러시아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가 어떠한 고용위협에 처해 있는지 그리고 송출국인 북한의 국경도시에 노동자의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다. 외생 변수인 UN 안보리 대북제재와 함께 코로나19의 확산이 북한의 국내외 노동자 고용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UN 대북제재도 불구하고 북한노동자가 접경국가에 얼마나 남아 있는지와 우회방법을 찾아 국가차원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코로나19로 인해 북한과 중국의 국경이 봉쇄됨에 따라 중국에 있는 북한노동자는 귀국 길이 막혀 버린 가운데, 체류 중 일부는 실직으로 인한 경제적·심리적 곤경에 처해 있다. 중국 의류제조업에 노동력부족으로 인한 임금인상과 장시간 노동으로 북한의 외화부족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