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군시대 북한 여성 작가의 감성적 글쓰기 양상: ‘렴형미, 리연희, 리라순’의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을 중심으로
...시에서의 모성은 여성적 체험을 바탕으로 체제에 기여하려는 책임의식, 돌봄, 사랑으로 표현되고 이는 접촉의 시어로 형상화된다. 리연희의 시에서는 혁명적 낭만이 열정과 환상으로 표출된다. 선군시대 북한 문학은 시련을 이겨내고 강성대국의 길에 들어서는 현실을 반영하면서 혁명적 낭만성을 구현할 것이 요구되는데 리연희의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을 살펴보면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여성 특유의 감성인 안음과 안김의 시어로 표출된다. 리라순은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 창작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최근의 작품에서는 최첨단 돌파를 위해 국가에 자발적으로 헌신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리라순의 소설에서는 정과 사랑의 의미를 모성에 비유하여 그 의미가 강인하고 뜨거운 믿음임을 강변하는데...
[학술논문] 월경(越境)과 전향(轉向)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박현숙의 희곡 <사랑을 찾아서>(『조선일보』, 1960.1.13~1.28)는 남과 북을 세 번 월경한 주인공 정애리와 사상을 회의하는 인민군 오영식을 중심으로 체제 ‘월경’에 대한 공포와 ‘전향’의 억압을 극화한다. 정애리의 월경 동인인 ‘순수한 사랑’은 자기 보존의 욕망, ‘생존’을 위한 욕망과 이어진다. 국가체제의 폭력, 내적 자유의 억압, 체제의 전향 강요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월경인 정애리와 경계인 오영식에게 가해지는 체제의 폭력을 다룬 4장부터 심화된다. 1장과 5장에 배치된 법정 장면에서, ‘월경인’ 정애리는 체제에 의해 잠재적 ‘죄인’으로 다루어지며 민규, 민...
[학술논문] 남북한 가정생활교육 관련용어 비교분석 - 아동・가족분야를 중심으로 -
...발행보고서와 관련 웹사이트, 북한의 가정생활을 주제로 한 단행본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용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체계 가운데 ‘인간발달과 가족’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달영역용어가 관계영역용어보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발달영역 중에서는 ‘사랑과 결혼’ ‘임신 중 생활과 출산’에서, 관계영역 중에서는 ‘자녀 돌보기’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남북한 용어에서 차이를 보이는 주요 내용은 호칭관련, 혼례관련, 임신관련, 출산관련, 자녀돌봄관련 내용이었다. 셋째, 남북한용어 차이의 주요 양상은 상이한 남북한 사회체제로 인한 차이, 말다듬기로 인한...
[학술논문] 전남지역 학도병의 의의와 호국정신 함양
...없다. 학도병들이 감당한 ‘초과의무(supererogation)’는 시민사회의 성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덕목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학도병들의 영웅적인 활동상을 발굴하여 널리 선양하는 것은 매우 귀중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우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뿐만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사회적 갈등과 분열로 인하여 내적 안보위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때 호국정신이 절실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우리는 나라사랑교육 강화를 통해 학도병들의 영웅적 업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면서 호국정신을 함양하는 데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호국정신은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국민통합에 기여함으로써 우리의 내적 안보를 강화하고 평화통일을 앞당기는 훌륭한 소프트파워 국력이 될 것이다.
[학술논문]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 탈북자-이웃을 환대하기
...흥미로운 관찰은 모든 탈북자가 다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탈북자 중에서도 북한체제를전면 부정하고 남한체제에 과잉 찬동하는 경우에는 얼마든지 ‘환대’를 받는데, 이러한‘조건부 환대’가 참으로 윤리적인가 하는 물음이 이 글의 주요 관심사다. 그 답을 찾기 위해 기독교윤리에서 ‘이웃 사랑’의 모범으로 종종 제시되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철학적 윤리에 비추어 숙고한다. 이는 세속화 시대에도 기독교윤리가 여전히 인문학적 토대를 공유하고 있음, 혹은 할 수 있음을 드러내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사마리아인의 선함은 단순히 이웃의범위를 확대했다는 점에 있지 않고, 오히려 타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