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해산물 관련 외국 강제노동 검토" 지시…北中 겨냥한듯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해산물 교역과 관련해 외국의 '불공정 관행'과 비관세 장벽 등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하라고 명령했다.
[뉴스] '北변화 유도' 대신 '한반도 안정관리'…민간 대북접촉제한 유지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정부가 대북 전단과 북한 인권 정책을 일부 조정하는 등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에 역점을 두고 올해 통일·대북 업무를 운영키로 했다.
민간 단체의 대북 접촉을 제한해온 정부 방침은 올해도 당분간 유지된다.
[뉴스] 대통령실 행정관 이메일, 북한에 해킹당해…“지속적 모니터링”
대통령실이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을 수행했던 대통령실 행정관의 이메일이 북한으로부터 해킹당했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 유엔 평양주재조정관 임명…"국제기구 北 복귀 중대한 상징"(종합2보)
유엔이 북한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업무를 조정하는 상주조정관을 신규 임명했다.
[뉴스] [인터뷰] 前대북제재위 조정관 "활동종료 패널 대안, 유엔 밖에서 찾아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위원회 전문가 패널의 임기 연장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러시아는 평소 대북 제재 이행을 감시하는 전문가 패널의 활동을 '성가신 불편'으로 여겼다고 직접 활동에 관여해온 전문가가 폭로했다.
[학술논문] 신년사로 본 김정일· 김정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비교
이 연구는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일과 김정은의 남한에 대한 인식과 남북관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시말해 권력을 승계받은 김정은이 대남한에 대한 인식정도와 긍정적인 남북관계, 부정적인 남북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향후 대남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낼 것인지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가늠해 보고자한다. 본 분석 결과의 요약은 김정일보다는 김정은이 남한에 대해 부정/긍정적인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긍정적인 관계도 많았지만 이에 못지않게 부정적인 관계도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김정일 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 관계가 많아지는 등 어느정도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나 김정은시대에는 긍정인식이 높아지면 긍정관계가 줄어들고 부정인식이 높아지면 부정관계가
[학술논문] 탈북인 재현 프로그램에 교차하는 시선과 마음: –남한/탈북 주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종합편성채널 텔레비전에서 방송하는 탈북인 재현 프로그램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시선과 마음 차이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표출된 남한과 탈북주민들의 교차하는 시선과 마음은 양 국가의 이데올로기 장치에 의해 내면화된 사회적 마음이었고, 상대의 상(像)을 온전히 맺히게 하지 못하는 굴절장치로 작동하고 있었다. 미디어가 만드는 탈북인 상과 북한사회에 대해 갖게 되는 부정적인 이미지는 분단사회에서 통일을 염원하는 정서를 균열시키고 통합에 이르는데 제한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탈북인을 소구하는 미디어의 재현방식에 의한 왜곡된 표상은 북한(사람), 탈북주민과 여성에 대해 고정관념을 생산하며 분단사회에서 교차하는 시선과 마음을 공고히 하는 기제가 된다는 메시지에 주목해야 한다.
[학술논문] 인권과 행정관리의 절충적 국경관리? -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수용원칙과 실제 -
본 연구는 최근 긴요한 위기관리 대상으로써 국경관리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향후 급변사태 등으로 인한 북한이탈주민의 대량발생시 현재와 같이 입국과 동시에 자국민으로 간주하여 전격적으로 수용과 지원을 하고 있는 제도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가지고 분단기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수용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이주결정의 배출/흡입(push/pull)모델을 중심으로 수용대상과 수용역량 양 측면에서 수용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는데 이 때 수용대상 측면은 동독이탈주민의 이주구조(수와 방식)와 속성(이주동기, 정서)으로, 수용역량 측면은 서독사회의 수용능력이 전제되므로 정치⋅경제적 영향을 고려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독의 수용원칙 설정과 활용은
[학술논문] 북한 일상생활 중심의 통일교육 교재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일상생활 중심의 통일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북한 사회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북한 주민에 대한 인간적 이해를 돕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북한을 교류․협력의 대상으로 보는 한편 현실적으로 안보의 경계 대상임을 이해하는 균형 있는 북한관을 목표로 한다. 즉, 한쪽을 강조하면 다른 한쪽은 약해질 수밖에 없는 사실은 대립적이고 긴장 관계에 있는 관점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통일교육에서 북한이해 영역은 체제 및 구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거시적 관점에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틀 안에서는 북한의 정치, 경제, 군사적 특징이 부각되고 따라서 북한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고가 강조될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조장될
[학술논문] 북한 4·5차 핵실험의 기술적 평가
North Korea intended to increase the power of its nuclear weapons and standardize warhead to be loaded in ballistic missiles through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nuclear weapons that North Korea might have used in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to achieve their technical goals were suggested. Monte Carlo modeling and various technical assessments have shown that boo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