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핵인지전 수행전략: 핵강압과 인지전의 넥서스
...인지전 수행 역량과 의지를 고려 시 향후 고도화된 북한의 핵인지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핵심은 북한의 핵인지전 구사 전략을 전망한 것이다. 특히 북한이 한국과 미국의 국민, 정부와 군 인사 등 동맹집단, 핵 의사결정 참여 집단의 구조적 특징과 취약 요소를 공략하는 핵인지전을 수행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한국과 미국 국민은 북한의 핵공갈 등 정보조작에 취약할 수 있다. 동맹집단(정부와 군)의 경우에도 확장억제 신뢰성 문제 등 핵 정책의 내재적 한계와 한미 간 긴장과 이해가 충돌될 수 있는 정책적 사안에 대해 북한이 고도의 내러티브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한미의 핵 의사결정 참여 집단의 경우는 허위정보나 내러티브에 인지적 오류가 발생하기보다는 위기 상황에서 시간에 대한 압박, 결심과 결과에 대한...
[학술논문] 인지전(認知戰) 시대의 사회적 회복탄력성 구축: 해외 사례 분석과 한국적 함의
본 연구는 새로운 안보 위협으로 부상한 인지전(Cognitive Warfare)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회복탄력성 구축 전략을 모색하였다. 인지전은 정보 조작을 넘어 인간의 인지과정과 의사결정을 직접 표적으로 삼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으로, 디지털 기술 발전과 초연결 사회의 도래로 그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중국-대만 관계 등 주요 해외 사례에서 나타난 인지전 양상과 회복탄력성 전략을 제도적,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의 지속적인 심리전과 주변국의 정교한 인지 위협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한 한국의 인지적 취약성을 평가하고, 한국 상황에 최적화된 회복탄력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인지 안보를 위해서는, 정부와...
[학술논문]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작 대응 방안 연구 -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작기관은 사용자의 비대면성과 익명성, 활용의 편리성, 대상의 광범위성, 통신의 쌍 방향성, 확산의 신속성, 정보 조작과 축적의 편리성, 경비의 저렴성, 보안유지의 용이성 등을 역이용해 국내 주요 국가 기관 전산망 해킹, 대남 선전․선동, 유언비어 살포 등을 통해 국론분열 조장, 역정보 누출, 정보교란 등의 대남 사이버공작을 수행하고 있다. 북한의 대남사이버 공작기관은 사이버공간을 더욱 지능화․고도화된 ‘사회주의 혁명의 해방구’로 악용하고 있고 현실에 우리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안보가 좌우될 수 있다. 정보화의 발전은 국민들에게 편익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개인과 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으로 국민생활과 국가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고 있다. 북한의 대남 사이버공작에...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 영향력 공작의 양상과대응입법 연구
...안정성과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사이버 공간에서의 외국 영향력 공작을 규율할 실질적인 법적 대응수단이 전무하며, 기존 외국대리인등록법안 등은 국회 통과에 실패하거나 사이버 대응 조항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FARA, 싱가포르의 POFMA, 호주의 FITSA 등 주요국 입법례를 분석하고, 북한 및 외국의 온·오프라인 간섭(교란)을 체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응입법으로 「국익보호를 위한 정보조작 및 사이버 교란 방지 법안」을 제안한다. 법안은 총 6장으로 구성되며, 외국대리인 등록의무, 정보조작·사이버 간섭 차단, 신고·감시·벌칙 규정을 포괄하여 민주주의와 국가안보를 함께 지켜내기 위한 실효적 입법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영향력 공작과 내러티브 트랜스포테이션
...들어 해외 국가들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영향력 공작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영향력 공작은 인지전, 해외정보조작개입, 해외악성정보위협 등 다양한 개념으로 불리고 있으나 대체로 모두 허위정보 또는 정보조작을 통해 대중인식조작을 기도한다는 점에서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같은 영향력 공작은 오늘날 단순한 프로파간다나 영향력 투사의 차원을 넘어 인지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대한 전쟁차원의 국가안보의 위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향력 공작의 위협은 특히 전쟁과 평화의 전통적 구분을 희석시키고 평화 시에도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한 해외 국가로부터의 악의적 정보조작을 통한 중대한 국가안보의 도전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크다. 특히 그와 같은 영향력 공작 수행에 소셜미디어가 주요한 무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