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상장례(喪葬禮) 변화 연구 — 1960년대 민속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이에서 어느 정도 수용되었는지도 살피고, 국내의 상황과의 비교를 통해 상장례에 담긴 정신문화의 소통 지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 북한의 민속조사 자료에서 파악할 수 있는 상장례 풍속은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 국가 체제에서 전통 상장례의 폐해로 지목한 미신적 요소, 허례허식적인 요소들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교주의적인 영혼관에서 유래한 명정쓰기나 혼백을 내는 절차는 현대적 장치인 사진으로 대체가 되었지만 인간적인 정리와 고유의 영혼관, 내세관에서 기인한 초혼 의례나 사자상차리기, 반함, 인정드리기는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신문화는 어떤 이데올로기보다 강력한 자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북한 체제에서도 상장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