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 및 자존감의 조절효과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편의 표집 중 눈덩이 표집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20대~60대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05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 조사대상자의 22.7%가 자살생각이나 자살에 대한 표현, 혹은 자살시도를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한 일반 국민의 자살생각 비율의 약 3배를 웃도는 수준이었다. 둘째, 남성에 비해 여성이, 부채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자살생각이 감소하는 것으로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요인
This study examined positive and negative mari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terms of previous studies, family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aptation to new society among refugees. We analyzed three major marital factors of marriage background, dyadic adjustment, and marital violence. Marital factors consisted of place of birth, place of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변수인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에 거주하는 기혼 북한이탈주민 29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주요 변수들 간의 다각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종속변수인 남한사회 적응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그 관계에 있어 자활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남한사회 적응 사이에 또 다른 심리적 변수인 우울 역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