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that were badly needed.
Possessing a consciousness on this matter, in order to present a fundamental and overall solution for a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armistice agreement, U.S. Army in Korea,
Korea-U.S, Allianc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rms Control were set as major assignments, and those issues were connected to peace regime in a way to figure...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small-scale terrorism, or a violation of armistice agreement. Accordingly, during a crisis management, while the US dealt with the former situations more dominantly, it responded in more lukewarm manner in the latter situations despite the strong request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same tendency also exhibited in maintenance, or violation, of armistice agreement; Commander of United Nations Command...
[학위논문] 평화협정 체결 사례와 한반도에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강승관 #한반도평화협정 #한국정전협정 #종전선언 #UN사령부 #주한미군 #서해해상경계선 #전환기 정의 #이행기 정의 #북한인권 #국군포로 #2+4협정 #이스라엘-이집트 평화협정 #이스라엘-요르단 평화협정 #미국-베트남 평화협정 #캄보디아 평화협정 #데이턴 협정 #벨파스트 협정 #성금요일 협정 #코소보 협정 #남북군축 #평화통일 #peace agreements #peace treaties #the law of peace #Korea armistice agreements #arms control in Korean Peninsula #UNC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NLL #transitional justic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학위논문] 『한반도 평화』를 둘러싼 국내 정치집단 간 역학관계 연구 : 이슈와 영향을 중심으로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한반도 평화와 관련해 즉흥적이고 수세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국민적 합의를 이룰 수 있는 대원칙을 세우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남북한 간 한반도 평화 구축 논의가 이루어지기 전, 국내에서 한반도 평화에 대한 합의된 개념을 도출하고 기조를 분명히 정립할 필요가 있겠다.
Since the Armistice Agreement signed on July 27, 1953,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 state of ceasefire. Of course, there have been attempts to make the peace permanent, but a war between nations has led to continued ideological...
[학술논문] 한반도평화체제 전환과정의 현실적 한계와 헌법적 쟁점
...남북한의 특수 관계 및 협정체결의 당사자문제 그리고 우리헌법상 영토조항과 평화통일 조항을 포함한 북한의 국가승인의 문제와도 연결 되며, 이를 헌법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3조와 제4조, 제60조 등 이른바 통일관련 규범 및 국회비준 조약의 종류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접근, 그리고 헌법 개정 요인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평화체제의 구축은 단지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 하는 서명에만 머무르지 않고, 남북간의 전쟁 위험의 제거, 상호 불신과 적대관계 해소, 공동 번영과 공존을 추구하기 위한 절차와 원칙, 규범을 제정하고 이를 법적으로 관철할 기구를 창설하여 당사자들이 성실하게 집행해 가야할 상방간의 협의 체계를 구축 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남북관계는 잠정적 특수관계 이론에 따라 다양한 한반도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