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체제 구축을 위한 북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 인민들에게 자긍심을 갖게 하고 ‘수령결사옹위’로 결집시키려는 것이다. 전국 각지에서 성공기념대회를 개최하여 인민적 지지를 끌어내고 있다. 북한 정치사회화 특성 중의 하나는 동원적 지지이고, 이는 사회통제를 의미하는 것이다. 정치사회화의 헤게모니이론에서 말하는 억압적 사회통제기제를 강하게 작동하여, 북한의 정치사회를 획일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인민들의 자발적 지지가 아니라 면종복배의 결과로 나타나 정치사회화의 한계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학위논문] 北韓 政治社會化의 過程과 限界에 關한 硏究
Irrespective of any establishment that exists on earth, political socialization is a source of inputting, outputting, and recycling all the resources for sustaining establishment. Therefore, researches into political socializa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access method for political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socialist country as well as democratic country. Specifically, in occasion of divided
[학술논문] 북한의 자강력제일주의와 인민노력동원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북한이 체제유지와 발전을 위하여 어떻게 정치사회화 과정을 진행시켜나고 있는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김정은 체제에서 내세우고 있는 국가발전전략은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내놓은 것이 자강력제일주의이다. 자강력제일주의는 북한의 체제유지와 발전을 위한 정치사회화의 새로운 내용이면서 방법이 되고 있다. 자강력제일주의는 ‘우리의 자원, 우리의 기술, 우리의 힘’에 의거하여 사회주의 강성국가를 건설하는 것이다. 김정은은 자강력의 근원을 핵무력과 국방력으로 보았고, 이를 자신들의 힘에 의하여 완성했다고 주장했다. 이제 경제발전을 위하여 온 인민이 나서야 할 때라면서 인민총동원령이 내려졌다. 인민노력동원은 자강력제일주의의 실현을 위한...
[학술논문] 북한 과학환상동화 ‘동굴섬의 새전설’에 나타난 북한의 정치사회화 맥락과 아동관
.... 특히, 새로운 정권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묘사를 통해 젊은이, 작은 것의 힘을 강조하여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설 속에서 묘사된 이상향과 현실 간 차이는 유토피아를 단순히 제시하는 데 그치며, 아동발달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며 북한이 표방하는 이상과 차이를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는 북한에 대한 자료접근이 제한적인 현 시점에서 북한의 아동대상 정치사회화 내용을 살펴 통일을 준비하는 의미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학위논문] 북한의 집단주의 특성요인과 심리적분석에 관한 연구
...보유하고 있는 가치 감정 의식과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에서 출발하며 현재 북한 체제를 지속시키는 요인을 찾고 그 전망을 추구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집단주의 생활양식에 대한 연구는 전체주의국가에 대한 행위적 접근이다. 전체주의 국가의 주민을 연구하는 가장 보편적인 시각은 정치사회화 이론이다. 그러나 북한 정치사회화 연구의 한계는 정치사회화 이후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치사회화 이론과 함께 신제도주의적 접근을 통하여 북한 집단주의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려고 한다. 또한 전체주의 사회심리연구를 바탕으로 주민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코르나이(Kornai)의 사회주의체제 성립과정과 그람시(Gramisci A.)의 헤게모니이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