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의 소재로 남북한 분단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역사, 정치, 사회문제 등의 다양한 소재가 다루어지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도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영화산업의 외형적 규모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상업영화의 발전은 문화소비로서의 대중문화 속성과 다양한 대중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든 웰 메이드(well made)영화 그리고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적 현상이 주원인일 것이다. 한국 대중영화가 영화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며 자연스럽게 미디어 매체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많은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대중영화의 파급력을 인지한 미디어 매체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은 사회․정치적으로 변화를 이끌기도 하지만...
[학술논문] 발화될 수 없는 삶들―탈북 여성, 재난, 그리고 증언의 정치―
...감정정치와 생존경제의 교차점에서 이들의 발화 조건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었는지에 주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다큐멘터리, 인터뷰, 수기, 출판 등의 형식을 통해 이들의 삶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구성되는지, 그 서사들이 정치 권력, 미디어 자본, 대중 사회와 어떻게 결합하고 교차하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여기서 ‘증언’은 단지 진실을 드러내는 행위가 아니라, 다층적 억압 구조 속에서 상품화되고 제도화되는 장치이자 동시에 발화의 주체성을 구성하는 정치적․윤리적 행위가 된다. 본 논문은 탈북 여성의 주체성이 피해자 담론에 환원되지 않으며, 오히려 통계로는 포착되지 않는 고통의 감각적․윤리적 차원을 드러내고 말해지지 않은 삶의 새로운 차원을 구성한다는 점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학위논문]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되거나 중국 농촌에서 강제적으로 대를 잇는데 활용되거나 온라인 채팅을 통한 성 매매에 내몰리는 등 수동적인 희생자로 인식된다. 탈북 여성에 대한 편견은 다큐멘터리는 물론 극영화 드라마 뉴스 등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고 여겨진다.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제작된 탈북 다큐멘터리들 가운데 <천국의 국경을 넘다(Crossing Heaven’s Border)> 시리즈를 텍스트로 하고 있다. 조선미디어그룹(Chosun Media Group)의 대표적인 크로스미디어 프로젝트(Cross-Media Project)인 이 시리즈는 지난 2008년 <천국의 국경을 넘다(Crossing Heaven’s Border)>를 시작으로 2013년 <머나먼 여행(Phantoms...
[학위논문] 1960~1970년대 북한 애니메이션 연구
... 김정일이 후계자가 되기 위한 경쟁에서 영화와 문화예술 분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김일성 유일사상과 주체사상을 내세우고 절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그리고 1960년대 말 북한 애니메이션 창작가들이 유일사상을 작품화하는 방식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당시 전쟁을 겪어보지 않은 어린 세대들에 대한 전문화된 사상 교육의 필요성이 김정일에게 ‘아동영화이론’을 제시하게 했다. 이런 김정일의 ‘아동영화이론’은 김정일의 독창적인 사상이라기보다는 김일성의 교시와 기존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아동영화이론’이란 용어는 김정일의 공식적인 통치가 시작된 후인 1997년에 김혜숙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나, 2000년대 말에는 북한...
[학술논문] 북한과 디스토피아—‘좀비 국가’ 표상을 중심으로
...전지구적 체제에서 북한은 오늘날 ‘좀비 국가’로 상상된다. 특히 미디어에서 북한 인민은 주권자에게 로봇처럼 절대복종하는 신민이나 기아와 탈출 속에서 ‘호모 사케르’에 가까운 좀비로 비유되고는 한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좀비 국가’ 북한의 이미지가 북한에 대한 실상보다는 북한을 대하는 전지구적 체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려준다는 방법론에 입각해 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전제를 통해 북한을 좀비로 비유하는 국내외의 각종 아포칼립스, 디스토피아 소설과 영화, 신문기사 등을 다양하게 검토했다. 그럼으로써 이 논문은 북한을 좀비 국가로 간주하는 시각에 내포된 정치적 상상을 독해하고자 했다. 특히 맥스 브룩스의 포스트 좀비 아포칼립스 소설인 <세계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