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지낸 백태현 저자는 대통령 리더십이 바로 그 해법이라고 말한다.
정권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고 대북·통일정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소위 말하는 ‘남남갈등’은 정책의 기조와 내용이 뒤바뀌는 원인이 되었다. 그렇기에 정책은 보수와 진보, 여당과 야당이라는 구분 없이 국내의 정치적 통합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흔들림 없는 통일의 주춧돌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통일·외교·안보의 영역에서 국가원수이며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은 이 국민적 합의 기반을 갖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제6공화국 당시 노태우 정부에서는 국민소통·정치협상·의제설정 리더십을 통하여 제도권 4개 정당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통일/남북관계]
...방안을 마련하는 일은 매우 유의미하다.
이 책은 크게 두 가지를 다루고 있다. 먼저, 독일 통합과 유럽연합의 통합 과정에서 나타난 쟁점이 한반도 통합에 주는 교훈이다. 독일이 분단 시기에 추진한 신동방정책과 1990년 통일조약 체결을 전후로 한 시기에 이루어진 ‘2+4회담’, 정당 통합 과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 독일 정치 통합, 아젠다 2010(Agenda 2010), 하르츠-개혁법(Hartz-Reform)을 중심으로 살핀 독일 노동시장정책과 사회정책 통합, 독일 통일에 큰 영향을 미친 유럽연합이라는 지역 통합과의 관계를 기술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통일과 통합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북한의 정치ㆍ경제적 상황을 분석하고 한반도 통합을 위한 정치 및 안보 과제와 해결...
[통일/남북관계]
...동·서독은 1990년 10월 3일 통일을 달성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독일통일 30년에 대한 평가는 성공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독일통일을 역사적 성공으로 평가했고, 여러 지표가 삶의 질과 정치적 환경이 개선되고 사회·문화적으로 동질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독일통일 과정을 보면 정치적 통합을 이룬 후 20~30년에 걸쳐 경제적 통합이 추진되었고, 현재는 사회·문화적 통합이 진행 중이다. 그런데 ‘머릿속의 장벽’이라는 말이 암시하듯이 독일 사회는 사회·문화적 차원의 통합에서 여전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결합해 지역학의 지평을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함으로써 종합적...
[통일/남북관계]
...
제3장은 임재천 고려대학교 통일외교안보전공 교수가 정원희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선임연구원과 ‘통일한국의 정치체제와 제도’에 관해 고찰한다. 통일과 관련된 국가체제, 정부형태, 의회 및 선거제도에 관한 주요 논의를 살피고, 북한의 현 정치체제의 특성을 살핀다. 독일통일의 정당통합 등 정치 변화 사례에 비추어 남북한의 정치통합 이후의 변화와 통일한국의 정치구조를 크게 5가지로 나누어 예측하고, 안정적인 통일한국 정치제도 형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김혜원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연구위원이 ‘통일 이후 남북한 행정통합’ 방안을 모색한다. 남북한의 행정조직을 중앙행정 및 지방행정 조직으로 나누어 살펴본 뒤, 독일의 행정통합 사례에서 시사점을...
[통일/남북관계]
...면담 내용을 기록한 문서를 중심 자료로 하고 있다. 저자가 만난 독일 고위 관료들은 동방정책의 설계자인 에곤 바 수상실 장관, 프리스니츠 내독관계성 차관, 도비예 내독관계성 차관보, 슈테른 수상실 국장 등으로서, 모두 독일 통일 과정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이다.
이 책에는 동독 주민들의 탈출과 시민 혁명을 시작으로 화폐 통합, 정치적 통합, 국제 사회의 합의를 거쳐 마침내 분단 45년 만에 극적인 통일을 이루어내는 숨 가쁜 과정이 현장 사진 자료와 함께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그 과정에 소금처럼 녹아 있는 독일 정치 지도자들의 눈부신 활약과 외교적 수완을 저자가 전하는 그들의 육성 증언을 통해 엿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은 독일 통일 과정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우리 자신의 통일 과업을...
[학술논문] 탈북민 의식을 통해 본 북한 정치사회화의 특징 -남북한 주민들의 정치 통합을 위한 과제-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려대 공공정책연구소 SSK연구팀의 탈북민 대상 설문조사 분석 결과, 북한 정치사회화의 특징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당과 국가 차원에서 사상 교양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시장에 의한 당 국가체제의 역할과 기능 대체로 당, 국가, 수령의 절대적 권위에 대한 변화가 아래로부터 형성되고 있다. 셋째, 핵심 요소인 수령에 대한 권위와 복종은 다른 어떤 요소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넷째, 평양의 특권층, 엘리트 간부들의 정치사회화 수준은 일반 주민들과 양극화로 표현될 만큼 격차를 보이고 있다. 남북한의 성공적인 정치통합을 위해서는 단계별·점진적 통합 및 충분한 정치 교육을 통한 새로운 정치사회화로 극복해야 한다.
[학술논문] 남북한 관계에 대한 국제통합이론의 적실성 문제
...하지만 통합이론 자체에 내재하는 한계와 한반도의 특수성으로 인한 문제들이 있다. 이론 자체의 한계로는 (1) 통합 개념의 정의와 지표가 불분명하고, (2) 통합의 진전만 중시하고, (3) 외생적 변수를 경시하는 점이 있다. 따라서 통합 대신 분리-통합의 연속적 개념을 정립하고 단계별 지표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통합의 외생적 변수도 중시하는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반도의 특수성으로 인한 문제로는 (4) 남북한의 체제 이질성이 크고 (5) 따라서 통합의 파급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점이 자주 거론된다. 하지만 체제 이질성의 문제는 그렇게 크지 않고, 파급효과도 상당한 정도로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남북한 모두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핵심적 역할을 고려하여 경제통합과 정치통합을 병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한국이 보는 통일과정 및 통일이후의 한미일 관계 발전방향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정치, 군사적 안건이 해결되어야 통일프로세스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방안에 의하면 1국가, 2체제를 먼저 구축한 다음 추후에 정치적 통합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이 두 방안은 모두 정치적 통합 측면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북한급변사태는 한반도 통일로 이어지기 힘들다. 미중 양 강대국이 공식적으로는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고는 있으나, 다른 한 쪽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를 바라지 않는다. 현 동북아시아의 역학구도 상에서 북한급변사태는 현상유지로 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정치통합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야 하며, 이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회문화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남북한 국민들이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북한주민들이...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南韓은 漸進的인 機能主義的 接近方法을 取하여 온 반면, 北韓은 聯邦主義的 接近方法을 取해 왔기 때문에 相互合意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7.4공동성명이후 南韓과 北韓의 통일정책을 機能主義대 聯邦主義 통일 정책으로 二分化하는 것은 지나친 單純化의 危險이 있다. 즉 北韓의 統一政策이 軍縮問題, 南北統合軍 창설 등 政治的 統合에 주력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10大 施政方針’에서 보듯이 남북간의 經濟. 科學. 文化. 敎育. 交通. 遞信분야에서의 交流와 合作의 증대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機能主義的 요소가 배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남한의 통일정책이 다방면적 교류확대의 波及效果(spillover)의 축적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機能主義的 요소가 강하나(20개 시범실천사업,...
[학술논문] 한반도에서 국가들의 규모와 그 성공: 최적 규모에 한정해서
이 글은 소국인 한국과 북한이 통일된 대국 즉 병합 한반도가 경제적 차원에서 더 큰 편익 달리 말하면 성공을 낳을 것인가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 알레시나-스포라오레 모델에 따르면, 자유무역 질서에서 소국이 대국보다 그 시민에게 더 큰 편익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경제통합과 정치통합 붕괴는 함께 간다는 것이다. 대국은 이질성과 문화적 다양성으로 말미암아 다른 시민의 요구와 정책을 골고루 충족시키기 어려워 갈등과 분쟁, 분할에 직면할 수 있다. 소국의 이익은 동질성에 있다. 소국은 그 시민의 선호에 맞는 정책을 추진하고 공공재를 제공할 수 있어, 사회 안정과 응집력을 유지하면서, 높은 경제적 성과를 낼 수 있다. 이 모델은 크레디트 스위스의 33년 동안의 소국의 성공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에서도 확인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