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 중도적 접근의 비판적 분석
...귀결되었다. 시진핑이 중국의 지도자로 등장하자마자 북한은 3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그 이후 중국의 북한에 대한 태도가 강경하게 변화되는 듯했다. 그러나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안 및 대북제재의 실질적 이행과정을 검토해본 결과 중국은 대외적인 선언과는 달리 대북제재에 그다지 진지하지도 적극적이지도 않았다. 오히려 제재안에 제재를 완화시키는 조항을 삽입한다던지 실제로 제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북한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태도를 지속하였다. 결국 시진핑 정부의 대북태도는 북한이 중국의 국가이익에 위배되는 도발을 하는 경우에는 제재를 통하여 경고를 주되, 그 제재가 북한정권에 위협이 될 정도로까지 강력하게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결국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란 중국의 신지도자 등장이나 북한의 도발에 대한...
[학위논문] 남북한 전시컨벤션 교류협력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 적용
...가능성과 견해차가 크지 않아 교류협력의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 북핵 문제로 인한 대북제재로 고립된 북한의 입장에서 전시컨벤션은 외부와 협력하며 교류할 수 있는 창구이자 외화를 획득하고 해외의 선진 기술을 도입하는 수단으로 북한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신산업이다. 남북 간 인적교류는 물론이고 산업적 경제적인 교류까지 달성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미 교류협력의 여건도 상당 부분 조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시컨벤션 교류협력에 관한 연구는 새로운 남북 관계를 형성하는 현 시점에서 시의성 있는 매우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전시컨벤션은 독일의 통일과정에서도 지속적인 동서독 간 접촉을 가능하게 하는 교류협력의 중요한 매개체로써 그 효용성이 입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류협력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전시컨벤션의...
[학위논문]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의 핵전략 결정요인 연구 - ‘핵전략 선택 제약 이론’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무정부상태의 국제사회에서 자구(self-help)를 추구하기에 가장 효용성이 높은 무기가 바로 핵무기이기 때문이다. 이는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에게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이들도 억제력이 더 높은 핵전략을 선택하려는 기본적인 동인이 있다.
그러나 핵개발을 시도하는 모든 후발 국가들이 마찬가지겠지만 권위주의 지역핵국가의 경우에도 초기에는 기술과 자원의 제약이 작용한다. 먼저 권위주의 국가라는 이유만으로 발동되는 미국과 서방세계의 제재가 작동하며, 또한 핵과 미사일 개발 활동으로 국제 비확산체제 규범을 위반하여 초래되는 UN안보리 제재와 기타 국가들에 의한 독자제재 등이 가중된다. 이러한 제재는 권위주의 국가의 경제발전과 핵.미사일 기술 개발에 제약을 가하여 이들이 핵개발 초기에 실존적...
#김홍익 #핵전략 선택 제약 이론 #실존적 억제 #확증보복태세 #비대칭확전태세 #권위주의 체제의 핵태세에 따른 대내·외 안보 딜레마 #일당 독재 #개인 독재 #군부 독재 #중국 핵전략 #파키스탄 핵전략 #북한 핵전략 #Constrained Choices of the Nuclear Strategy Theory #Existential Deterrence #Assured Retaliation Posture #Asymmetric Escalation Posture #Internal-External Security Dilemma of the Nuclear Posture #Single-Party Dictatorship #Personalist Dictatorship #Military Dictatorship #China's Nuclear Strategy #Pakistan's
[학술논문] 미국의 對북한 경제제제 실효성 : 행위자의 전략적 선택 중심으로
탈냉전 이후 비핵화는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화두이다. 북한은 그동안 핵 개발로 인해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로부터 제재를 받아왔고, 미국과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핵개발과 도발로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행위자들 간의 전략적 교환(strategic interaction)이 경제제재의 비핵화 효과를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행위자 중심으로 분석한다. 나아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다자주의의 효용성에 관해 주목해야한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미국이 주도하는 양자주의 제재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EU가 제공하는 다자주의적 유인을 결합하는 방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