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분단을 소재로 한 국내 영화 속 정치적 담론과 장소의 재현
...기조와 남북관계, 그리고 대북인식의 변화라는 맥락 속에서 국내 분단영화 속 장소 재현의 다양화ㆍ유연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남북교류가 제한적이었던 김영삼 대통령 집권기의 분단영화에서는 6ㆍ25 전쟁기의 민간인 촌락을 배경으로 하여 전쟁의 비극성을 강조하였다. 대북포용정책이 전개되었던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집권기에는 분단의 상황에서도 남과 북의 인물이 시간적ㆍ공간적 제약없이 조우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에피소드와 인간애를 비롯한 감정적인 교류를 주요 소재로 다루었다. 이명박 대통령 집권기 이후로는 북한의 도시, 정치범수용소, 북중 접경지역의 경관 묘사를 통해 북한 체제의 비합리성과 지배권력의 비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남파첩보원과 북한이탈주민을 빈민촌, 재개발지역, 고시원, 흥신소 등의 공간적 배경에 등장시켜...
[학술논문] ‘제한적 합리성’으로 본 북한의 대미 핵전략: 국제정세하의 핵 개발·억제전략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사이몬(Herbert A. Simon)의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을 이론적 배경으로 6.25전쟁 이후 70여 년간 북한이 강대국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어떻게 핵 개발을 진행해 왔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변증법은 모든 사물은정반합(正反合)으로 전개로 발전해 나간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북한의 핵 개발도이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북한이 미국과의 정반(正反) 대립은 맹목적이 아닌정확한 목표를 위해 작동되는 기제(機制) 또는 전략이 분명히 내재되어 있다고판단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원용하여, 북한의 핵정책이 일정한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전제하에이를 설명하기...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 주민 대상 경제금융 교육에 관한 연구: 행태경제학 관점을 중심으로
...동안 계획경제 체제 하에서 살았던 북한 주민들에게는 큰 혼란과 어려움을 야기할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공감대를 얻고 있는 행태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정한 교육내용은 ① 금융 전반(금융내역 기록하기, 인플레이션의 영향, 현대 금융투자시장에서 상품 선택의 물리적 어려움, 금융투자자의 제한적 합리성 등) ② 대출(개인 신용 관리, 금융권별 대출금리 차이 등) ③ 금융투자(비용이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복리와 단리의 차이, 기대수익과 위험의 상관관계, 투자위험 유형, 분산투자의 중요성, 적극적 투자와 소극적 투자 등)이다. 다만, 각 내용의 깊이와 넓이는 북한 주민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도로 한다. 이러한 직관적이고 기본적인 금융교육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