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조선인 귀국(歸國)문제를 기억하는 문화적 방식 - 북한의 경우를 중심으로 -
...북한에서는 문화적으로 어떻게 기억하고 그려내려 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1차귀국문제와 2차 귀국문제의 형상화로 나누어 그 재현의 양상을 연대기적으로 조감해 보았다. 북한 내에서는 제2차 귀국운동 40주년인 1999년을 중심으로 하여, 즉 2000년에 즈음하여 총체적으로 그 역사적 기억을 복원하려는 서사적 형상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 직후의1차 귀국운동과 분단 이후의 제2차 대규모의 정치적 귀국운동을 포함하는대사건들을 동시에 기억하려는 문화정치학적 구현이었다. 1차 귀국운동에 관하여서는 소설과 영화장르간의 ‘사실’을 중심으로 한‘허구적 기억’이 차이점으로 주목되었다. 2차 귀국운동에 관련해서는 초기의 서정적인 시장르의 현실 반영 문제가 차츰 오체르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