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3국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병역 문제 :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제3국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한국에 입국해서 겪는 병역문제 적응에 대한 논의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적응 과정에서 병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입국 탈북민들은 탈북과정의 트라우마,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낯선 곳에서의 문화적 격차, 취업과 교육 적응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특히, 남성의 경우 병역 문제가 적용되면서 또 다른 부적응과 갈등이 발생한다. 지금까지 제3국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에 관한 연구는 주로 유형별 실태와 학교적응, 언어적응, 심리적 문제 등에 국한되었다. 이 연구는 제3국출생 탈북민이 병역법에 따라 의무 군 복무를 하면서 겪는 언어소통, 문화와 정서의 차이 등의 문제점을 먼저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했다. 탈북민의 병역문제와 관련한...
[학위논문] 탈북청소년의 삶과 정체성에 관한 예술기반연구
...둘째, 탈북청소년의 정체성은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셋째, 탈북청소년들의 삶에서 미술학습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우선 탈북청소년들은 태생, 탈북 동기, 입국 경로, 가족 동반 여부, 탈북 기획 유형 등에 따라 다양한 생애경로를 가지고 있었다. 행복학교 안에는 북한에서 태어난 “탈북청소년”과 중국에서 태어난 “제3국 출생 비보호 탈북청소년” 사이에 보이지 않는 벽이 있었다. 학생들은 그 사이에서 본인이나 부모의 출생국가에 따라 명확하게 구획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지 않았다. 오히려 거주 기간이나 소속감에 따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정체성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보면 ‘중도포기형’과 ‘성취추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