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연구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은 출생국가, 외상사건 경험국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중국 출생 탈북청소년은 제3국에서의 외상경험이 높고, 가족 관련 사건에서 높은 경험을 보인 반면,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은 남한에서의 외상경험이 높고, 사회 관련 사건에서 높은 경험을 보였다. 한편, 이들은 북한 및 제3국에서의 외상사건 경험 외에도 정착 후 남한에서의 경험이 적지 않게 나타났는데, ‘친구의 따돌림’, ‘부모의 이혼’, ‘모르는 사람의 강도·폭행’이 대표적이다.
셋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은 크게 3가지의 이질적인 잠재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개별...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관련 연구: B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 간 감수성 관련 교육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B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문화 간 감수성을 탐구하였고 연구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은 문화 간 감수성의 다섯 가지 요인 중 네 가지(상호작용 참여와 문화차이의 존중, 상호작용의 향유와 상호작용 주의)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고 둘째, 북한이탈청소년 및 제3국 출생 청소년의 문화 간 감수성, 특히 상호작용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다른 문화권과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추후 더 큰 규모의 대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학술논문]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해당 대상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기획;구성;실시;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총 7회기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전후 객관적 효과평가로는 주 1회 50분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인 S시 소재 N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재학생 10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동일학교 재학생 9명으로 이루어진 통제집단으로 할당하였다. 그런 다음;양적 분석을 위하여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시행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수준 검사 결과를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해 양적 분석으로는...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부정적 생애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아동기에 겪은 부정적 생애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이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응답한 북한이탈청소년 194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ACE와 학교 부적응의 주요 양상인 과제 회피 행동;학교 활동 참여 부족;무단 결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아동기에 네 가지 이상의 부정적 생애경험을 겪은 북한이탈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교 부적응의 양상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제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과 연령이 높은 북한이탈청소년이 학교 부적응의 주요 양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ACE와 학교 부적응의 관계를...
[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의 가족경험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이주 과정에서의 가족경험 변화와 의미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은 이주과정에서 가족의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는가? 둘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의 이주 과정에서의 가족관계 변화로 인한 어려움을 어떠한 전략으로 극복하고 있는가? 셋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청소년의 이주과정과 가족관계 경험은 이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수행하였고, 드러난 범주들을 이주 공간과 축에 따라 정렬하였다. 그 결과, ‘미운오리새끼처럼 돌봄 없이 소외되다’, ‘변화를 위해 도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