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제트전투기 공중전투 연구
...소련 공군과 중국 공군의 미그-15는 중국 지상군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만주로부터 북한 내륙으로 연결되는 병참선을 보호해야 하는 방어자였고, 극동공군으로부터 공중우세를 빼앗아야하는 도전자의 입장이었다. 3장은 한국전역에서 공중우세권 확보를 위해 공중작전을 전개한 미국 극동공군과 소련 제64전투비행군단의 작전을 미국과 소련의 한국전쟁 수행전략인 제한전 성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미국 극동공군과 소련 제64전투비행군단의 공중작전을 직접 수행한 제트전투기 F-86과 미그-15의 공중전투 전술을 분석하여 소개한다. 전쟁사에서 최초의 제트전투기 공중전투로 기록된 한국전역에서 F-86이 완승을 거두었다는 평가는 정당성을 지닌다고 하겠고, 소련 공군 역시 공중작전 측면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학술논문] 한국전쟁 이전 소련의 북한 공군지원 고찰(1945∼1950)
한국전쟁 당시 북한공군은 개전 3개월도 못 되어 완전히 궤멸되었다. 이것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미 공군의 조기참전을 들 수 있다. 그러나한편으론 광복이후부터 소련의 지원으로 양성된 북한공군의 전력이 왜그토록 미약했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개전 초기 북한공군의 궤멸원인을 1945∼1950년소련의 북한 공군지원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시기 소련의 공군지원을 시기와 분야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49년 3월 김일성과 스탈린의 모스크바 회담 이전까지 소련의 지원은 대단히 미약했으며, 전쟁발발 시점에 임박해서야 양적증가를 보이지만, 이 또한 매우 소극적으로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전 초기 북한공군은 남한공군과 비교할 때 10배의 양적 우위에 있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