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민법의 변천과 특징 -남북한 민법통합작업에 있어서 시사점 모색을 위해서-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earch hints which are helpful to the merger of Civil Law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fter the unification of both, therefore, firstly it is needed to give a conspectus about transitions of previous civil law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formal civil law of North Korea. And secondly it is required to scan the main points and back grounds of the amendments of
[학술논문] 고려인 영유아 부모의 자녀돌봄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고려인 영유아 부모의 자녀돌봄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한 경험이 있는 고려인 부모 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출산과 관련해서는 한국으로 이주하여 출산하고, 혼자 산후조리를 하면서 우울감과 정서적 고립을 경험했으며, 이로 인한 육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었다. 둘째, 출산 후 자녀돌봄과 양육환경은 매우 열악하여, 러시아권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한국어보다 러시아어를 먼저 가르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자녀돌봄을 위한 서비스는 다문화가정이나 북한이탈가정과 달리, 외국국적동포에게는 임신 중 제공되는 맘카드를 제외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 넷째, 미래계획은...
[학술논문] 북한 학술지에 게재된 식품학/영양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양은 1/2~3페이지로 매우 짧았으며 참고문헌은 생략되거나 기재되어 있더라도 평균 2~4편의 참고문헌을 인용하고 있었다. 식품학/영양학 분야 논문 연도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87편;2015년 74편;2016년 152편;2017년 36편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분야별 논문 게재 분포는 식품화학 17편;식품기기분석 17편;식품가공학 62편;식품조리과학 26편;품질관리 6편;달리 분류되지 않는 식품과학 4편;식품공정공학 37편;식품저장/유통/포장 4편;식품미생물학 18편;식품발효학 25편;효소/생물전환 반응 5편;식품위생/품질관리 11편;식품 위해성 평가관리 3편;식품 중금속 1편;기능성식품 93편;영양대사조절 4편;보건영양/영양역학 1편;영양조사/평가모니터링 3편;임상영양 18편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학술논문] 부대 유형과 북한지역 취사여건을 고려한 전시 전투식량 소요 산정논리 연구
전투식량은 많은 불확실한 마찰요소가 있는 전시에 중요한 작전지속지원 요소이다. 전투식량의 이점 중 필요한 열량과 영양을 충족하면서도 간편하게 언제 어디서든 조리 없이 취식 가능하다는 점은 전장 상황에 매우 큰 장점이다. 특히, 물, 식자재 등 취사 자원이 부족하고 험준한 산지 지형이 대다수인 북한지역에서 전투식량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제한사항으로 모든 전투원은 전투식량을 취식할 수 없다. 전투식량은 특정 상황의 부대 유형이 취식해야 하는데, 이 부대를 선정하는 기준을 정립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는 정립되지 않았던 전투식량 소요 제기를 각 부대들이 어떤 기준에서 마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부대 유형과 북한지역 취사여건을 고려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관련기관...
[학술논문] 집단심층면접을 통한 북한이주여성들의 식생활 문화 관련 신념 및 태도 변화 연구
...통해 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 관련한 지식을 습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음식을 구매 및 섭취하며, 영양과 자신의 건강상태를 유심히 살펴나가는 점이 변화된 부분이라 보고하였다. 두 번째로 북한사회 거주 당시와 비교해볼 때, 음식을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섭취하는 데 더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었다. 세 번째로, 참여자들은 계절과 무관하게 자신의 욕구에 적합하게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다는 환경에 만족하면서도, 조리방식에 있어서는 반조리 식품구입이나 외식을 하기보다 여전히 가내에서 직접 조리하는 방식을 고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더치페이와 혼밥문화 등 북한 사회에서는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식문화 관련 규범 및 생활 양식들을 서서히 받아들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