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녀성」에 드러난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의 「조선녀성」을 대상으로 1993, 1998, 2003, 2008, 2013년 5개 연도에 걸쳐 48권 총 2,669편의 기사를 분석하고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 및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녀성」은 2000년대 이후 발간 주기가 단축되고 지면이 늘어나면서 연간 편수가 증가했고, 2008년 이후의 자료에서 생활·문화 관련 기사들이 많아졌다. 목차 주제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사회문화’영역 기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가족 및 교육 관련 기사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내용 분석 결과 2000년대 이후 부부, 고부관계, 친족 기사가 증가하고, 자녀 출산의 의무와 보다 엄격한 자녀 교육이 강조된다. 식량 절약에 대한 언급은 지속되고 있으나
[학술논문] 1950~1960년대 『조선녀성』을 통해 본 북한 인민의 의복 문화 : 사회주의 이행기 일상생활 변화의 시론적 검토
... 사회경제사 연구들은 196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수령체제’의 전사(前史)를 파악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전후 복구라는 사회경제적 토대의 변화, 그리고 사회주의 이행이라는 사회적 변화가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소재는 사회주의 국가의 일상 개혁을 잘 보여주는 의복이다. 분석 대상인 조선민주녀성동맹의 기관지 『조선녀성』은 여맹의 정책과 소식 뿐만 아니라, 여성과 가정 생활 전반을 다루는 종합교양잡지였다. 『조선녀성』의 의복 관련 기사들은 공장제 직물의 증산에 따라 등장한 의복 생산의 새로운 관습, 여전히 직물과 의복이 풍족하지 않은 상황을 반영하여 절약과 합리적 소비가 강조되고 있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의복의 형태와 디자인에 대한 기사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