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전략
본 연구는 북한의 급변사태 이후 적용가능 한 효율적인 안정화와 통합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군이 수행한 안정화작전의 경험에서 교훈을 도출하고자 했다. 북한의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동북아의 지정학적 구조 및 남북한 특수성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위기로 확산되거나 또는 한반도 통합의 기회를 촉발할 수도 있다. 다만 주변국 개입과 불안정 요인의 잔존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다층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안정화 전략은 대내외의 군사, 외교 그리고 행정 분야의 다양한 요인을 포괄해야 한다. 한국의 효율적인 안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안정화작전의 유사한 사례와 비교하여 북한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추론할 수 있다. 미군의 안정화사례에서 도출된 안정화 변화
[학위논문] North Korea as a revisionist state : leaders' political psychology of nuclear provocations
김정은의 북한은 강도높은 핵/미사일 도발로 또다시 전 세계의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 성공했다. 2012년 김정은의 정권 세습 이후 6년동안 북한은, 김정일 시기 2회 핵실험의 두 배인 4회를 감행했고, 미사일 도발은 김일성과 김정일 통치시대 전체의 도발보다 세 배 가까이 증폭했다. 그리고2018년 1월부터 김정은의 북한은 국가 핵무력 완성을 이제 성취했음을 공표하며 미국과 대한민국에 대한 전면적인 평화공세를 전개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통해 김정은 정권은 미국의 선제공격 위협과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초래하는 등, 그 체제를 안전하게 하기보다 더 불안하게 만드는데도 불구하고 왜 지속적으로 핵무기를 개발하고 도발을 증가하는가이다.
본 논문은 이 의문을 풀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