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의사되기: 해방 직후 북한의 의과대학 교원들을 중심으로
This paper traces how Koreans of north area became medical doctors in colonial Korea. Most of the past research have focused only on the well-known medical doctors, or even when they discussed a great number of doctors, many research tended to only pay attention to the explicit final results of those doctors. This research, on the other hand, includes ordinary medical doctors as well as the renowed
[학술논문]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겪는 성장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성장 경험은, 39개의 개념, 16개 하위범주, 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범주는‘탈북민으로서 위축감을 떨쳐내고 자신과 주변 관계를 새롭게 구축함’, ‘낯설던 사회복지영역에서 전문역량의 증진을 경험함’, ‘남한에서 사회복지사란 무엇이며 어떠해야 하는지를 자각해 감’, ‘남북의 차이를 인식하고 발전의 기회로 삼음’, ‘졸업 후 남한 사회 정착을위한 진로와의 연결점을 찾음‘ 그리고 ’나눔의 계기가 되어 남한사회에 대한 공헌의식으로성장되고 실천해감‘ 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차별화된 성장 경험을 더욱 증진하고 대학과 실습기관에서 반영하여야 할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과학기술자 되기―초기 북한 이공계 대학 교원들의 이력 분석
...맞추었다. 당시 조선인들이 과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관문, 즉 도시 인근 출생, 근대 교육 입문, 고등교육 진학, 졸업후 직업 선택을 거쳐야 했다. 이 과정을 거쳐 형성된 조선인 과학기술자 집단은 고유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첫째, 해외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유학파들이 과학기술에서 주도세력으로 떠올랐다. 둘째, 과학기술자들이 가장 크게 부족했던 공통점은 연구경력의 결여였다. 셋째, 전시에 행해진 강제 배치와 노역으로 인해 기업을 기피하는 과학기술자들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넷째, 과학기술은 중하층 출신이 주되게 진출하는 영역으로 그 사회적 위상이 높지 못했다. 해방 후 과학기술계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었다. 과학기술자들에게는 연구 자체가 생소했고 새로운 과학세대를 위한 양질의 과학교육도 버거웠다....
[학위논문] 형태발생론의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학위 취득의 가치와 정착과정
...기회비용 지불을 선택하는 행위자성, 문화담지자로서의 행위자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행위자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행위자성은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행위 주체성이 발현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재학 중에 형성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고 이러한 경험들은 재학 중 또는 졸업 후 자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새로운 가치체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단지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 이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겠다는 새로운 역할기대를 형성해 나갔다. 이러한 영향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주어진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 구조적 조건에 대한 상황인식과 판단하에서 자신들의 역량과 범위를...
[학술논문] 북한이탈대학생 대학입시특별전형에 관한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대학 진학이 어려운 북한이탈학생에 대한 기회 제공;특별전형을 통한 명문대 진학으로 얻게 되는 개인 및 사회자본 가치의 상승;특별전형의 기회로 한국 사회에서 주류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생길 것이라는 기대였다. 두 번째 범주인 특별전형으로 입학했기 때문에 겪는 어려움의 범주에 포함된 주제는 기초학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 격차;특별전형으로 입학한 것을 남들이 알까 불안한 마음;졸업해도 일반대학생들과는 확연히 차이 나는 역량에 따른 진로 선택의 어려움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 및 논의하였고;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이 가지고 있는 세 가지 쟁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상의 세 가지 쟁점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대학입시특별전형제도에 대한 주요 시사점과 향후 제도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