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에서 발표된 김영석 소설 고찰 ─「보배손」을 중심으로
김영석은 해방 이후부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한 작가이다.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산하 문학대중화운동위원회 위원장으로 평론과 문단활동을 하였고, 소설들은 주로 노동자의 현실을 담아낸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월북 이후에도 김영석은 작품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특히 6·25 전쟁 때 종군활동을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종군소설들을 주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김영석에 대한 논의는 해방기 작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월북 이후 김영석은 비록 작품 수는 많지 않지만, 꾸준한 작품활동을 해왔다. 그러므로 북한에서 발표된 소설들을 살펴보는 작업은 김영석 소설세계의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이라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따라서 김영석의 북한소설들, 특히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단편소설과
[학위논문] 남북한 전시소설 연구 :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
...공동체적 감정이 얼마나 이질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 시기 남북한 소설문학을 바탕으로 그 실상을 검토하는 일은 전시소설 유형화 작업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본고의 첫 번째 논의 과제라 할 수 있는 명칭 문제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 성과들에 비판적으로 접근하여 얻은 결론은 '전쟁문학', 혹은 '종군문학'이 아닌 '전시문학'이라는 용어로서 이 시기 문학이 규정되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전시문학'이라는 명칭과 아울러 전쟁 체험을 반영한 혹은 전쟁의 직간접적 영향 아래 놓인 전쟁기의 다양한 삶의 양태들이 전시소설이라는 명칭을 규정하는 실질적인 구성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전쟁이라는 시기적 특수성을...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중국어로 번역된 김사량 작품 연구
...「남조선인민유격대 수령 김달삼」, 「조선인민유격성지 - 지리산」, 그리고 「투쟁적 조선농촌」을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고에서는 세 작품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는 단계인 만큼, 가능한 그 기본적인 내용을 충실하고 상세하게 분석하여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인 작업으로 북한 문학을 비롯한 외국문학이 중국에서 번역된 양상과 배경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종군문학 작품들은 유격대의 전투실화를 현지보고식으로 간결하고 생동감 있게 그려냄으로써, 전쟁의 현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치가 있다. 김사량이 쓴 종군기들은 인민군 전사들의 당과 수령님, 조국과 인민들에 대한 불같은 충성심과 헌신성, 용감성, 영웅주의, 그리고 숭고한 애국심을 진실하게 반영한다. 이는 작가 김사량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신념과 조국통일에 대한...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 문예지 『문학예술』(1950.6~1953.8)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과 인물의 내면 풍경을 중심으로-
...통해 진솔한 내면의 욕망을 보여준다. 한국전쟁기 북한 단편소설이 지닌 등장인물의 심리적 동요와 함께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문학이 내포한 리얼리티적 유연성이 살아있었음을 주목하였다. 그것이 남북한 문학의 접점으로써 텍스트의 서사적 리얼리티라는 미학성을 공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기 북한소설은 남한의 종군문학과 함께 입체적으로 조망되어야 할 텍스트에 해당한다. ‘적과 동지’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전쟁 서사의 기본적 골격에 해당하지만, 황순원의 「학」이나 하근찬의 「수난이대」처럼 다면체적 인간의 본성을 포착한 작품이 남한에 존재하듯, 북한에서도 인간의 심리적 동요를 보여주는 단편의 미학이 존재한다. ‘뺄셈의 정치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