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시기 함경도 부농주거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실향민들의 증언과 도면자료를 기반으로 -
Plenty of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dwelling of korea since 1970’s. Various approaches on the traditional way of dwelling design produced deep and broad understanding such as regional, periodical, social class characteristics etc. However these understandings have covered only on south korea. As far as north korea, very few studies have been added after korean war. Very
[학위논문] 북한 공동주거의 형성요인과 변화과정 : 모더니즘, 사회주의, 통치의 도시계획의 균형과 균열
...중공업 우선 정책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양시의 경우, 현재까지도 다른 도시들에 비하여 가파른 인구 성장을 보이는데, 이 역시 1970년대 이후부터 추진된 경공업 병행 성장 정책의 결과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급속한 도시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후 북한은 소련과 동독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 저층 ‘외랑식(편복도식)’의 표준주거유형을 구축하여 대량의 주거를 공급하였다. 이후, 1970년대부터 북한의 공동주거는 고층화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는 공동주거 단지의 블록 길이, 주동의 길이, 중심 가로폭의 측면에서도 수평적인 대형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후 초토화된 도시에서 진행된 복구사업과 산업 진흥으로 인한 인구 집중을 해소하기 위해 고층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