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25전쟁이전 북한 무장세력에 대한 애국정신 사례연구 -경북 포항 지경리 사건을 중심으로
...마을에서 무고한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자행된 북한 무장세력의 만행사건에서 나타난 주민들의 애국정신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 사건은 남북 간의 이념 대립 시기에 북한 무장세력이 치안부재의 포항 지경리 마을을 기습하여 34명의 무고한 양민을 무참하게 학살하고 마을을 불태운 사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묻혀 있던 이 사건을 재조명하고 사건과정에서 나타난 지역 주민들의 신고정신과 시민 애국정신, 상부상조의 정신을 찾아내어 아직도 남북분단의 현실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유비무환의 호국정신을 일깨우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시민 애국정신을 자랑과 귀감으로 여기고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재발되지 않도록 본 연구가 국가안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되새겨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학위논문] 북한 사회안전성의 주민통제 연구
...위한 법을 제정하여 활용하는 통제를 하였다. 「형법」의 처벌을 강화하고, 비사회주의적 행위와 표현을 통제하는 특별법 「반동사상문화배격법」과 「평양문화어보호법」을 제정하고, 일탈행위의 주범인 청년층의 사상을 단속하는 「청년교양단속법」을 제정하여 통제를 강화하였다. 셋째, 김정은 정권은 주민을 활용하는 통제를 하였다. 주민들의 상호감시를 강화하였고, 주민들의 신고를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군중신고법」을 제정하였고, 주된 통제대상인 청소년의 일탈과 불법행위에 부모의 책임을 강조함으로서 주민통제를 유지 및 강화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 사회안전성의 주민통제가 유지 및 강화되었다고 주장한다. 주민통제는 사회통제의 일환임에 따라, 북한의 사회통제 역시 강화되었고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전체주의 정권의 사회통제는...
[학술논문] 북한의 하마스식 기습공격시 지자체 대비방안 연구
본 연구는 최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한 방식과 유사하게, 북한의 기습공격시 지자체의 대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이스라엘의 비상대응체제와 하마스의 공격 특징을 분석하고, 북한의 기습공격 위협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자체는 북한의 기습공격시 적시적인 대응을 위해 통합방위 정보공유체계 구축과 주민신고체계의 통합 등 통합방위 협조체계의 발전이 필요하고, 주민보호를 위한 민방위분야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지자체 차원의 인지전 대응능력 구비와 지자체장의 비상대비 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교훈을 통해, 지자체의 비상대비를 위한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한 연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지자체가 북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