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해중부에서 HF Radar를 이용한 파랑 및 해수유동 관측
...있다. 파랑은 최대 약25 km, 해류는 최대 약 50 km의 관측 범위를 나타내며, 150 kHz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1.5 km 간격의 격자 해상도를 갖는다. HF Radar를 이용하여 관측한 파랑 자료는 현장에서 관측한 파랑계 자료와 비교․검증을 하였으며, 해류 자료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한 월별 동해평균표층 해류도와 해류흐름 패턴과비교하였다. 파랑의 비교 자료들에 대한 회귀선과의 편차는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로 상관관계 0.86와 RMSD 0.186을 보였다. 또한 동해연안의 해수유동에 대한 장기간의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8월과 9월의 연안에서는 북한한류가 남쪽방향으로, 외해에서는 동한난류가 북쪽방향으로 흐르는 흐름이 나타났다.
[학술논문] 한미 정권교체에 따른 주한 미대사관 외교문서의 주제와 감정표현 변화: 위키리크스 공개 외교전문의 컴퓨터 언어처리 분석
... ① 한국 내 정세, ② 북한관련, ③ 주한미군, ④ 남북경협, ⑤ 해외파병, ⑥ 동북아문제, ⑦ 한미통상의 주제들을, 그리고긍정적, 부정적 감정과 두 감정이 공존하는 양가감정(兩價感情)을 각각 잠재적디리쉴레분포 배치모형, 주성분 분석, 그리고 LIWC 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제와 감정을 추출하는 컴퓨터 텍스트 분석은 일정수준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둘째, 문서내의 주제와 감정의 변화는 주로 본국의 정권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재국의 변화에는 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위키리크스 외교전문과 같은 대용량의 텍스트를 분석할 때 컴퓨터 언어처리 방식의 방법론적 타당성과 주재국-대사관-본국간의 외교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함의도 논의하였다.
[학술논문] InSAR Signature 시계열 분석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SAR 영상은 관측시간과 기상현상 등의 외부 환경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며 광학영상보다 광범위한 관측 영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레이더간섭기법 (InSAR)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기법은 큰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L밴드 ALOS PALSAR의 후방산란계수와 긴밀도를 이용한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개발하고 최근 화산 폭발 가능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백두산 지역에 시험 적용하였다. 새로운 토지피복분류 체계는 ALOS PALSAR의 HH, HV편광 모드의 영상을 InSAR 시계열 상에서 패킷의 형태로 재구성하고 주성분 분석을 도입하여 분류의 신뢰도 향상을 시도하였다. 또한 MODIS 등 광학 영상 기반 분류와 상호 검증하여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북한의 생태적 특징과 복원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한반도 생태지역을 유형화 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남한과 북한의 생태계 차이를 확인하였다. 평균 군집방법으로 한반도를 15개의 생태지역으로 분류하였다. 15개 생태지역 간 차별성은 ANOVA test로 확인하였다. 지역 간 유사성은 등분산을 가정하지 않는 post hoc pair wise comparison으로 비교하였다. 남한의 생태지역에 서식하는 자연식생을 확인하여 북한의 생태지역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지역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생태지역의 타당성을 설명하였다. 생태지역은 지역의 독특성을 담도록 명명되었다. 둘째, 1989년에서 2008까지 산림변화 통계량을 분석하여 공간적 잠재복원대상지를 탐지하였다. 이 기간 동안 북한 산림황폐지 변화 양상은...
[학위논문] 한반도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 and Petrological Data Processing System 인 Minpet V2.02를 이용하여 마그마 근원 물질의 특성, 마그마 유형 분류, 지구조적 환경, 아다카이틱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연구지역의 화강암류는 calc-alkaline 계열의 I-type으로, 대부분 메타알루미나질에 해당되었다. 둘째, 분화에 따른 주성분원소와 미량원소의 변화 경향은 일반적인 화강암류의 분화 경향과 유사했다. 셋째, 미량원소와 희토류원소를 중심으로 한 지화학적 해석은 벌교, 보성, 진동지역의 화강암이 아다카이트(adakite)이거나 이와 유사한 성인에 의해 만들어진 암체일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지역의 화강암은 이자나기판의 섭입과 관련된 해양 슬랩 물질의 부분용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