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사회주의 시민사회론 재고- 북한 시민사회의 형성 전망에 주는 함축
...종속되어있지만 지배체제의 이완기에 자율성을 회복하는 넓은 의미의 ‘준시민사회’로 국가사회주의 체제 하의 시민사회 개념을 확장하자는 제안에 주목한다. ‘공산주의적 권위주의 당지배체제’였던 폴란드와 헝가리에서 좁은 의미의 저항적 시민사회는 폭넓은 대중조직으로 발전하거나 다양한 제2사회의 형태들로 활성화되어 있었으며, 이들이 체제변혁의 구심점을 형성하였다. 반면 ‘공산주의적 전체주의 체제’였던 체코슬로바키아와 동독에서는 좁은 의미의 시민사회는 활성화되지 못한 대신 당의 지도와 명령에 종속되어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재분화’되었던 ‘준시민사회’가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었다. ‘공산주의적 전체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