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를 공유하는 네 집단의 국민·민족 정체성의 지형: 중·조 국경 도시 단동의 북한사람, 북한화교, 조선족, 한국사람
1990년대 전후부터 본격적으로 국경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실천이 상존하고, 그 국경에 대한 다양한 읽기를 한국어로 하면서 네 집단이 어우러진 삶의 터전이 있다. 그곳은 중국의 최대 국경도시 단동(丹東)이며, 북한사람·북한화교·조선족·한국사람들이 국경을 염두에 두고 살고 있다. 네 집단의 경제적 교류는 한국어가 매개체 역할을 한다. 즉 그들은 중국어가 아닌 한국어로 소통하면서 경제 활동을 추구하고 있다. 한국어는 그들에게 살아가는 삶의 도구이자 근거의 역할, 다시 말해서 경제자본이자 사회자본의 바탕이다. 그들은 단동에 경제적 이윤 추구가 가능한 중·하고 재정립하는 기회가 된다. 국경이라는 경계를 활용하는 삶의 수단과 전략들은 그들의 국민과 민족 정체성을 이용하는...
[학술논문] 삼국(북한, 중국, 한국) 무역의 중심지로서의 중국 단동: 중·조와 남·북 무역의 교차점의 역할과 현황에 대한 분석
...연결된 무역 활동이 한·중 혹은 중·조 무역으로만 간주되고 있다. 하지만 단동페리는 한·중 간의 무역뿐만 아니라, 중조우의교와 연결되어 북한을 포함한 삼국 무역의 한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단동은 삼국의 만남의 현장이자 중심으로 자리를 잡았고, 삼국의 유통 흐름은 네 집단이 있기 때문에 활성화 되고 있다. 그들은 경의선 통과가 상징하는 두 국경과 관련된 넘나들기의 내용과 역할을 단동에서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정황들을 고려하면, 연구자들이 예견하는 것과 달리 단동에서 삼국의 만남과 연결은 미래형이 아니고 현재 진행형이고 최소한 1990년대 초반부터의 단동의 모습이다. 따라서 북한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경제적 관계가 중·조 무역과 남·북 경협(무역)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