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중 간 전략경쟁과 여타 중견국의 균형-편승 스펙트럼
본고는 미중 간 전략경쟁과 고도화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역내 주요 미국의 동맹국들의 미중 경쟁에 대한 대응양상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주요정의나 범주에 대한 논쟁점이 있지만, 미중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중견국’ 또는 ‘중간국’으로 불리는 호주, 일본, 인도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중견국의 국방 차원에서의 미중 전략을 균형과 편승의 스펙트럼에서 조명하였다. 첫째, 내적 차원의 균형과 편승 여부이다. 군사적 전력증강 및 국방비 지출을 중점으로 위협에 균형 또는 편승하는지 분석한다. 둘째, 외적 차원의 균형과 편승 전략이다. 미중 양자 관계에서의 균형과 편승의 행동, 그리고 주변국 및 다자관계(국제사회)에서의...
[학술논문] 1990년대 우크라이나-러시아 관계의 프리즘을 통해 보는 20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중견(간)국의 헤징 전략의 실패
본고의 연구목적은 우크라이나 역대 정부의 대 러시아 헤징 전략에 대한 통시적 분석을 통해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원인을 우크라이나의 중견(간)국 전략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분석가들의 입장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러시아 독재정권의 위험성이 외부로 발현되고 있다는 국내적 관점과 북대서양조약기구(이하 NATO)의 동진을 비롯한 서방의 전략 실패라는 국제적 관점이 그것이다. 경쟁하는 두 관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에 대한 유의미한 분석을 제공하고 있지만 갈등의 원인을 2000년대 이후 발생한 ‘새로운’ 전개에 있다고 단정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고는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1990년대를 탈(脫) 소비에트 우크라이나-러시아 관계에 있어 핵심적인 시기로 상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