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2시대 한중관계의 주요딜레마와 쟁점에 대한 시론적 검토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some conflicts and dilemma of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G-2 era. Sino-Korea relations have achieved a full-scale development with an unprecedented size and level since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n 1992. However in the process of mutual development, there have been some conflicts and dilemma which has confronted the two nations
[학술논문] 현대 한국 엘리트들의 중국관의 변화 흐름
현대 한국의 지식 엘리트 계층의 중국관은 한ㆍ중 양국의 국력의 격차, 안전보장과 경제이익, 북한 요소, 중ㆍ미 간의 경쟁 구도, 북핵 위기의 장기화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변화해 왔다. 한국의 지식 엘리트 계층에서는 중국위협론, 중국 붕괴론, 중국 기회론, 중국 기회와 도전 병존론 등이 제기되었고 한반도 국세의 변화에 따라 네 가지 중국관도 영향력 방면에서 상호 증감하는 변화를 보여 왔다. 주변 강대국에 대해 응당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에서 한국의 엘리트 계층은 한ㆍ미동맹 중심론, 중ㆍ미병중론과 자강을 기초로 한 다자안보 체제론 등을 선후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