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정세 변화와 한·중 관계 속에서 선교
This article focuses on miss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of change politics, economics, diplomacy. Now the China has more tension and conflicts in circumstance in Northeast Asia. East Asia has a lot of problem and conflicts among North Korea, South Korea, Japan, and China. Last month, during the China as President of Xi Jinping has visited Korea, North Korea launched missile to East Sea
[학술논문] 북한선교를 위한 ‘주체사상’ 과‘유물론적 신학’의 대화
아시아에서 기독교의 선교가 두드러지게 이루어진 곳은 한국이다. 비록 현재는 침체의 늪에 빠져있지만, 지금까지 성장한 한국교회가 짊어져야 하는 선교적 몫은 중국선교와 더불어 북한선교이다. 북한이 한민족이기 때문에 사실상 한국 기독교는 동남아시아 선교나 중국선교보다 북한선교를 더 우선적인 과제로 삼아야 한다. 현재 북한선교는 대북지원, 북한교회재건운동, 통일운동과 같은 외형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통일운동에 중심을 두는 북한선교는 수평적 선교라면, 북한교회재건과 대북지원은 수직적 선교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북한선교가 수평적 선교와 수직적 선교를 넘어서 심층적 선교도 전개되어야 함을 강조하려고 한다. 북한선교는 북한을 타문화권으로 간주하고 선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고, 또한 북한을 타종교권으로...
[학술논문] 기독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밴 매넌(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
...‘넓은 길에서 좁은 길로의 전회’, ‘새로운 생명’, ‘하늘 가는 길에 동행’, ‘하나님 사랑의 전파’로 나타났다. 관계성은 ‘삶의 기반 박탈’, ‘시선의 폭력에 노출’, ‘하나님 형상의 회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간성은 ‘중국이라는 감옥’, ‘가나안의 꿈과 현실’, ‘로뎀나무 아래서의 쉼’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교회 공동체 내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회복시스템 구축, 젠더 친화적인 여성전담 사역자 양성, 그리고 중국 선교에 있어서 북한이탈여성들의 주체화에 대한 제언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