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의 해방: 북한 자주화와 1956- 57년의 중국-북한관계
...위한 협상 테이블에 유엔을 초청”할 것을 중국과 소련에 제안하고, 동시에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요구로 맞섰으며, 양국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김일성의 철군요구에 마오쩌뚱은 대화를 통해 양국간의 긴장을 완하시키는 소위 ‘폴란드식 해결’ 방법을 선택하였다. 1956년말 중국은 중국인민지원군 철수를 결정하고, 1957년 1월 소련의 동의를 얻었다. 1957년부터 중국은 북한에 대한 대규모 경제원조 제공을 재개하고 일체의 정치적 간섭을 중지하면서, ‘김일성 달래기’에 나섰다. 1957년 11월 모스크바에서 마오쩌뚱은 북한에 대한 내정 간섭의 재발방지를 약속하고,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를 통보함으로서 중조관계는 밀월기에 접어 들었다. 결과적으로 김일성에게 집중된...
[학술논문] 북한 시에 나타난 중국 인민지원군 재현의 맥락
...전시문학과 전후문학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 집중적으로 고찰했다. 전쟁 당시 북한 시는 중국인민지원군을 전우이자 형제로 묘사했지만, 동시에 북한이 중국의 국공내전을 지원했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중국의 항미원조가 일방적 도움이 아님을 명시했다. 철군을 기념한 시집은 북중 우호의 역사를 연대기적으로 엮으면서 중국인민지원군과의 이별을 극적으로 노래하며 이별을 상연하는 연극적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이는 중국인민지원군에 대한 북한의 기억과 경험을 정리하며 이별을 환영하는 역설에 가깝다. 1966년 중국의 문화대혁명과 수정주의 논쟁이 불거진 이후 중국과의 혈맹관계는 유지되었지만, 중국인민지원군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는 중지되었다. 중국인민지원군 재현의 변화는 북한의 정치적 변수와 양국의 관계변화, 북한의 중국(군) 인식의 맥락을...
[학술논문] 1958년 중국인민지원군 철군과 북한의 대응: 북・중・소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중심으로 1958년 지원군 철군 전후 과정에서의 북한의 대응을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원군 철군에 대한 북한의 대응은 크게 세 단계로 전개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1957년 1월 전후의 시기;북한은 헝가리 상황을 활용한 양면 전술을 통해 중국과 소련이 철군 합의에 이르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동유럽 위기가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치면서;북한은 중소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북중 관계 개선을 통해 지원군 철수를 추진하려는 전략을 모색해야만 했다. 두 번째 단계인 1958년 2월 이전 시기;북한은 대내 정치 상황;소련으로부터의 안보 지원 필요성;주한미군 철수를 위한 명분 확보 등 요인으로 인해 한반도 안보의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도 지원군 철수 방안을 고려했다. 그러나 북한의 철군 요구는 중소 갈등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