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2016년 개정 「조선말 띄여쓰기」의 변화 내용과 남북한 현행 띄어쓰기 규정 비교
이 연구는 새로 개정된 중국 『조선말규범집』(2016) ‘4칙’ 중의 「조선말 띄여쓰기」 규정의 개정 내용을 살펴보고 현행 남북한의 띄어쓰기 규정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 한민족은 남북한 분단 이전에는 모두 같은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 근거해 언어생활을 영위하였지만 광복 이후에는 남한, 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각각 다른 사회 체제 속에서 사용하는 어문 규범 또한 달라지게 되었다. 중국에서 조선어는 해방 후에 『한글맞춤법통일안』(1946)의 「띄어쓰기」 규정과 북한의 『조선어철자법』(1954) 중의 「띄여쓰기」 규정 그리고 북한의 『조선말규범집』(1966)에 준하여 사용하다가 1977년에 북한의 『조선말규범집』과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조선말띄여쓰기」를 제정하였고 1995년과...
[학술논문] 중국 조선어의 띄어쓰기 규범에 대한 고찰 -새로 나온 2016년 『조선말규범집』의 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에서 2016년에 새롭게 개정된 『조선말규범집』 중 띄어쓰기 규범의 10년간 변화를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 시각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중국 조선어 띄어쓰기 규범의 특징과 발전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국 조선어 띄어쓰기 규범의 특징 및 기타 영향 요소가 된 남북한 각 언어 규범과 남북한에서 협의한 『겨레말큰사전』 단일규범내용과의 공통점을 정리할 것이다. 2016년에 새롭게 개정된 띄어쓰기는 남북한 언어 규범에서의 협의에 따른 첫 개정 시도를 보여준 것으로 단일어문규범의 통일을 이루는 데에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고 본다. 특히 남북한의 어문규범을 자유롭게 참고하여 각 언어의 사용과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중간지대로 현행 중국의 어문규범으로부터 단일규범의 효과성과 실행 가능성, 나아가 중국...
[학술논문]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천 연구 - 85년판, 96년판, 07년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본고는 중국 『조선말규범집』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 규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조선말규범집』의 체재를 소개하고 여러 차례의 개판 수정한 『조선말규범집』의 내용을 그 전 판본과 비교하여 수정한 부분을확인하고 남한과 북한의 어문규범과 비교함으로써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중국 『조선말규범집』 85년판을 기준으로 96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자음 발음, 음운, 준말 등과 관련된 내용이고 07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띄어쓰기와 문장부호이다. 96년판 이후 중국 『조선말규범집』은 대부분 남한의 규범을 참조하여수정되었지만 중국 조선어의 일상언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개정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