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시기 북한-대만관계의 복합구조 연구
... 파견하기도 하였다. 1998년 대만전력공사는 북한정부 와 핵폐기물이전합의를 맺었다. 특히 이 핵폐기물이전합의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국가의 우려 및 불신 등 원인으로 인해, 결국 북한-대만간 의 핵폐 기물합의는 제대로 실행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사적 흐름을 통해 동 아시아에 있는 남북한 관계 및 양안관계의 교차관계를 구성함으로써 북한-대만 관계의 지위를 분석하려고 한다.
[학위논문] 한중 수교 이후 북한-대만 관계 연구 :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북한-대만 관계의 흐름을 재구성하는 동시에 이를 중국-대만 관계; 즉 양안관계와 연결하여 해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중국이 북한-대만 관계에 대해 정치적·경제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했는가를 살펴보는 의미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북한-대만-중국 간의 상호견제 관계를 전략적 삼각관계이론을 원용하여 분석하는 형태로 구성될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대만-중국의 전략적 삼각관계에서 우선 ‘북한-대만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틀을 만들고 그것의 역사적 의미와 대만의 대외전략에서 가지는 의미를 재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대만이 동북아시아에서 남북한과 양안관계의 교차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고자 한다.
시간적 범위는 한중 수교의...
[학위논문] 한중 수교 이후 북한-대만 관계 연구 :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동북아 질서에서 북한-대만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는 비정치적 대외전략을 제안한다.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각 분단체제는 “권력 비대칭” 상황에 놓여있다. 이 상황에서 분단체제에 속한 약소국은 각각 “편승(bandwagon)”, “협력(cooperation)”, “균형(balance)”의 대외정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런데 북한-대만 관계는 남북관계 및 양안관계의 교차관계에서 무시할 수 없는 구성요소인 동시에 남북한과 양안관계 사이에서 갈등과 협력의 교착관계를 만드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북한이 한중수교로 인해 전개되는 상황을 견제하기 위해 대만과 적극적인 관계를 만들어 나갔다는 점과 함께 대만도 동아시아에서의 고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