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 분석 및 대응 전략
본 연구에서는 우선 몽골과 한국, 몽골과 북한의 외교관계를 각각 요약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의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전략을 파악해 보고 한반도의 안정과 남 북한의통일에 있어서의 몽골의 역할과 동북아에서의 삼국의 협력에 대해 논해 보았다. 또한 몽골의 대 한반도 외교정책의 면밀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한국이 몽골을 통해 대 북한외교와 나아가 동아시아에서의 외교력을 넓히는 정책적 제안을 도출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자면 몽골은 앞으로도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동북아시아의 급변하는 정세 속에 남한과 북한 어느 한쪽에도 이해관계가 치우쳐 있지 않은 유일한 나라라는 특별한 입장을 계속 유지하려 할 것이다. 이는 외교적으로 몽골 스스로가 약소국의 위치에서
[학술논문] 민주화 이후 몽골 정치의 변화와 전망: 총선과 대선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몽골 정치의 변화 중 현대 몽골 정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화 이후의 몽골 정치의 변화를 총선과 대선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몽골 정치권에 대해 세밀히 파악하여, 대 몽골 정치, 외교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에 있다. 큰 틀에서 민주화 이후 몽골의 정치체제는 두 번의 헌법 개정 외에 큰 변화는 없다. 하지만 몽골은 민주화 이후 다당제가 되면서 많은 정치세력들이 이합집산하게 되고, 이것은 선거를 통해 이루어 졌다. 그래서 민주화 이후 치러진 총선과 대선을 중심으로 몽골의 정치적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앞선 분석들을 통해 현재와 앞으로의 몽골의 정치 변화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특히 2012년의 몽골총선과 현 몽골정치 상황의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몽골에 대한 실제적인 외교적, 경제적
[학술논문] 미국의 중국에 대한 정책 변화와 남한의 중립 외교
...중․소분쟁이 심화하자, 미국은 1978년 베이징의 공산당 정권을 중국 정부로 승인하고, 1979년 수교를 시작했다. 다섯째, 1991년 냉전이 끝나고 중국이 급속하게 부상하자 미국은 중국을 패권에 도전할 수 있는 국가로 간주하고, 중국을 견제하며 봉쇄해왔다. 미국의 대 중국 정책 변화는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남한은 중립 외교를 전개하며 적어도 두 가지를 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 첫째, 앞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에 패권 경쟁이 심해지더라도, 한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며 번영을 이루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에 공동시장을 비롯한 공동체를 설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둘째, 앞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의 관계 변화에 따라, 북한의 핵무기 폐기와 주한미군 철수 그리고 동시에 한반도...
[학술논문] 한반도종단철도와 대륙횡단철도의 정치경제학
...중국은 통일한국이 미국 주도 하의 ‘서방 동맹’으로 기울어서, 미국의 동맹국가 국경을 맞대는 것을 극도로 싫어한다. 또 남한과 북한의 마찰을 이용해서 중국의 국익을 증진할 기회를 잃고 싶어하지 않는다. 일본은 이미 중국에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자리는 내어준 상태에서, 통일한국의 태도는 경계의 대상이다. 통일한국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취하면서 일본을 견제한다면, 일본의 입지는 더욱 좁아진다. 러시아는 상대적으로 남북통일에 대하여 가장 이해의 대립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러시아는 중국을 견제하여야 한다. 한편으로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통일한국이 미국 주도 하의 ‘서방 동맹’으로 기울어서, 결과적으로 미국과 러시아 간의 세력균형에서 미국에 더 큰 힘이 실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