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딜레마: 전환과 지속의 갈림길에서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미 간 전략적 경쟁이라는 구조적 요인을 통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의 딜레마를 분석한다. 중국은 시진핑 등장 이후 (부상하고 있는) 강대국 정책성을 분명히 하고 대외정책 방향을 조정해왔다. 이로 인해 대북정책과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인식에서도 중미 간 전략적 경쟁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되었다. 그 결과 중국정부는 한편으로는 핵과 미사일 발사로 이 지역의 평화를 해치는 북한에 대해 심각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대북 강경책을 취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지역 불안을 야기하는 북한의 존속보다 남한 주도의 통일이 중국의 전략적 이해에 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일련의 인식 전환의 징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중국은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이라는 구조적...
[학술논문] 미중 경쟁시대에 한국의 중국에 대한 인식과 정책 : 한국 내 중국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논문은 한국 내의 중국의 외교안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동아시아에서 미중 간의 세력경쟁 속에서 한국이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는가를 조사함으로써, 한국의 대중국정책의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중국 전문가들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미경쟁이 구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미동맹에 기초한 대북견제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통일과 경제성장,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필수적인 협력대상인 중국과도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미동맹은 북한견제에 초점을 둬야하며 한미일 3각 안보동맹으로 확대발전시켜 중국으로부터 한국이 미국편에 서서 중국을 견제할 것이라는 전략적인 의심을 사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학자들은 사드배치의 필요성에...
[학술논문] 미국의 대 한미·미일동맹 정책 비교를 통한 변화와 전망
...행위체의 영향력이 증대되는가 하면, 국가 간에 많은 불균형적 발전이 초래되었다. 냉전 종식과 90년대 북한 핵 문제의 대두, 그리고 21세기 중국의 급부상으로 동북아의 안보환경이 급격히 바뀌면서 미국의 동맹정책도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중국의 급부상으로 미국의 동북아 안보 정책은 한미·미일동맹을 통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게 되는데 북한 핵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문제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3각 안보협력 강화를 통해 대처하고, 중국에 대한 문제는 미일동맹을 통한 견제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미일 남방 3각 협력과 북중러 북방 3각 협력으로 나뉘면서 신냉전으로 이어질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특히 미일동맹이 글로벌 전략적 동맹으로 발전하면서 미일동맹 현대화를...
[학술논문] 탈냉전기 미중 관계와 북한의 대외전략: 전략적 삼각관계와 핵보유국 지위 추구
... 활용해 자국이 중추인 삼각관계를 겨냥한 가운데 핵보유국 지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하지만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2019)이 결렬되자 북한은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에 대한 비난 속에 북중연합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앞으로 미중 강대국 경쟁 속 북중미 삼각관계의 시나리오는 세 가지 - (1) ‘반미 북중연합’, (2) ‘반중 북미연합’, (3) ‘대북 미중경쟁’ - 이다. 현재는 ‘자유주의 대 권위주의’ 구도의 부상 속에 북중연대가 강화되고 있으나, 전략적 삼각관계의 전환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