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탈북 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
...장르적 형식으로 표출된다. 복합 장르적 형식을 통해 북한 체제 비판적 인식과 함께 북한 체제에 대한 그리움과 또한 지니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북한 체제에 대한 이중적 인식이 나타난 사회적 요인으로는 작가의 북한내에서의 견고한 이데올로기 교육과 남한내 대북 담론과 제도의 변화와 관련 있다고 보았다.
Ⅳ장에서는 『청춘연가』에서는 증언문학이란 개념을 토대로 무엇을 어떠한 방식으로 그려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작품은 내용적 측면에서 북한의 고난의 행군 시기의 세태, 중국에서의 삶, 남한에서의 정착 과정에서의 적응 문제를 다루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유사한 경험을 한 다양한 계층의 탈북 여성들의 체험에 기반하여 전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존과 존재감이 위협받던 과거로 인한 트라우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