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평도 포격 피해 주민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심각도와 심리사회적 위험요인들의 관계
... 지지 및 부정적 신념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심각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울러,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결과, 외상 당시의 해리증상과 지각된 외상 심각성은 각각 다른 모든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심각도에 고유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외상 당시에 해리 증상을 더 많이 경험하거나 외상 사건을 심각하게 지각할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이 더 심각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은 포격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의 심각도를 완화하고 이 장애를 예방하는데 있어 외상 당시의 해리증상과 지각된 외상 심각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