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문판 세계 지역지리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에 대한 기술 변화
...기술하다가, 한반도 중심으로 기술 내용이 변화하고 있다. 문화역사적 측면에서는 기술내용의 양이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이 민족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독립적이라는 점과 남북한의 동질성 존재의 인식 측면에서 기술 내용이 일치하고 있다. 자연지리적 측면에서는 남북한의 경계를 의식하지 않고 한반도 전체를 하나의 지역으로 설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인구분포 및 농업생산 등과 연계시켜 기술하고 있다. 인문지리적 측면에서는 남한은 농업, 북한은 공업이 발달한 점을 중심으로 남한과 북한의 ‘지리적 보완성’의 개념으로 남북한을 동등한 수준에서 비교 기술이 이루어지다가, 1990년대 이후에는 남한은 경제성장 중심의 긍정적 측면을 중심으로 기술하는데 비하여, 북한은 정치적 측면 중심의 부정적인 기술로 변화하였다.
[학술논문] 한중관계 30년 평가와 미래발전에 대한 소고 -구동존이를 넘어 화이부동으로-
...하였다. 더구나 현재의 구조적 현실은 한중관계의 미래발전에 제약이 될 수 있다. 글로벌 차원의 미중 전략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제, 안보, 가치⋅이념의 디커플링 현상이 양국 간에 의도치 않은 오해와 반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경제관계도 상호보완성보다는 상호경쟁성이 부각되고 있고, 북한의 핵실험과미사일 도발, 한미 동맹 등 전통적인 갈등 이슈는 한반도의 지정학, 지경학적 리스크를 더욱악화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관계의 발전은 중요하다.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국가이고, 오랜 역사를 통해 정치외교, 경제무역, 사회문화 모든 방면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해왔기 때문이다. 또한 한중 양국 모두 경제적, 정치외교적 파트너쉽의 중요성과 안정적인 미래발전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비록 당면한 구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