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지방행정체제와 통일 후 지방자치제의 정착방안에 관한 試論
...것이다. 따라서 주민의 기본적 인권 보장을 위해서는 북한 지역에도 진정한 의미의 지방자치제도가 조속히 정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북한 지역은 지방자치제를 경험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북한지역과 남한지역 간 교류와 협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제도 정착을 위한 북한지역과 남한지역의 교류․협력 방안으로서 북한지역 지방자치단체와 남한지역 지방자치단체간 통일사업 수행을 위한 남북한 지방자치단체조합의 신설이 가능하도록 남북한 정부의 노력과 제도적 정비를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통일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통일 후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지방행정구역통합과 지방자치제도 정착을 위한 방안에 대한 준비와 연구는 막대한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고, 통일 후의...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 지역에서의 지방자치제도 실시에 관한 고찰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통일 후 북한 지역의 지방자치제도 시행시 고려할 쟁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북한주민들을 통일된 국가의 주역으로 참여시키고 새로운 통일한국의 주권자로서 자부심과 소속감을 느끼고 살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급적 즉각적으로 지방자치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후 남북 지방자치단체간의 자매결연 등 행정협력을 강화하여 북한 지방자치단체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남북주민간의 사회통합을 촉진해야 한다. 다만, 민주주의, 시장경제 등 새로운 시스템에 점차 적응해야 갈 수밖에 없는 북한주민들의 현실을 고려할 때 북한 지역에 실시할 지방자치제도의 조직・권한 등을 반드시 남한의 지방자치제도와 처음부터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으며, 그동안 남한에서 이루어진...
[학위논문] 통일 시대를 대비한 우리 지방자치단체의 북한 협력에 관한 공법적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헌법상 책무라고 볼 수 있다. 통일이라는 자칫 거창해 보일 수 있는 이슈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결국 거주하고 있는 바로 일상생활 영역, 즉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변화에서 비로소 피부로 느끼게 된다는 점에서 통일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한편 북한의 지방자치제도를 살펴보면, 정치적으로는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지방자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한계로 인한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방의 분권적 경제체제를 인정해 왔으며, 이러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방분권의 경험은 향후 남북통일과정에서 남북 지방자치단체간의 협력·지원 또는 남한 지방자치단체의...
[학위논문] 統一段階別 國家權力構造의 體系에 관한 硏究
...의회처럼 상원이 하원보다 우월한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고; 상하 양원의 견해가 다른 경우에는 상하양원합동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고; 그 위원장은 상원위원장이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일헌법의 의회구성에 지역대표성을 갖는 양원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양원제 의회가 최근 헌법개정논의에서 지역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지방자치제도 모색과 관련하여 제안되었듯이 통일 후 남북 간의 갈등해소 내지 완화에도 기여할 것이며; 민주주의를 학습하고 확산하는데도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 예측이 매우 어려울 것이지만 특히 의회 제도를 볼 때 통일한국의 의회제도에 대한 논의는 현재 우리나라의 의회제도 특히 헌법을 개정하는 일에도 지역정당주의의 극복...
[학위논문] 남북 경제통합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남북간 경제통합이 가진 세 가지 특수성을 적절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세 가지 특수성을 지닌 남북간 경제통합을 급박하게 추진하는 것은 통일비용측면에서 불가능하므로 경제영역에서만큼은 잠정적으로 북한지역을 별도 관세구역으로 설정하여 동 지역에 설치될 지방자치단체에 경제적 분야에서만큼은 고도의 자치입법권; 자치행정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현행 헌법이 규정한 지방자치제도에 의하여서는 이러한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통일헌법 제정시 이를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북한지역을 고도의 경제적 자치권을 가진 별도관세구역으로 설정한다는 측면에서는 홍콩과 유사하지만 북한 지역에 적용되는 경제질서는 사회적 시장경제질서가 될 것이므로 중국식 일국 양제와는 구별됨을 유념하여야 한다.
Econo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