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꿈하늘」의 새로운 읽기-역사담론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의식을 강화하고 더욱 분명히 해준다는 점에서 결코 무시하거나 배제해선 안 된다. 오히려 「꿈하늘」 유고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물며 단재는 자신의 원고에 함부로 손대는 것에 대해 누구보다 강하게 반발하고 싫어했던 인물이 아닌가. 한편 이 작품은 ‘진단구변국도’라는 비결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진단구변국도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덧붙였다. 바로 오늘날이 제4변국이며 사대주의자들의 득세로 수백 년 이어져온 역국의 여얼이 남아있지만, 곧 국수주의의 순국이 전개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국수주의는 종교적 무사혼을 통해 달성되리라 했다. 한놈이 도령군 놀음곳을 직접 찾아가는 것도 그러한 정신의 반영이다. 지금도 단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