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이 책은 북한 사회가 종교를 부정하는 사회주의 이념을 어떻게 유지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북한주민의 종교성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함과 동시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종교와 관련된 경험을 보다 상세히 알아보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를 위해 북한의 종교정책을 파악하고, 북한 사회의 종교성 실체, 종교가 북한 사회의 변화와 관련되는 지점을 찾으려 시도했다.
[사회/문화]
...있는 것이 있다면 바로 ‘음식’의 ‘맛’일 것이다. 이미 남한에서도 평양냉면 전문점을 심심찮게 만날 수 있고, 한때 잠시나마 대동강맥주를 즐길 수 있었던 적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본류로 알려진 옥류관의 ‘평양냉면’을 먹어보고 싶고, 1번부터 7번까지 다채로운 맛을 지닌 대동강맥주의 진미를 맛보고 싶다. 이름만 들어도 무슨 맛인지 궁금해지는 대동강숭어국이나 명태순대, 가재미식혜, 털게찜 등은 통일이 오면 꼭 맛보고 싶은 한반도 북단의 맛이다. 평양온반, 해주교반, 언감자국수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음식들은 말할 것도 없다. 북한이 지키고 발전시켜온 한반도의 맛에 대한 호기심은 통일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높이는 작지만 소중한 마중물이 될 수도...
[학술논문] 백두산 흑요석과 가덕도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북한 쪽 백두산 지역에서 산출되는 흑요석과 부산 가덕도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에포함되어 있는 미세결정을 대상으로 그 형태적 분류 및 화학조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백두산흑요석은 육안 및 경하관찰에 의한 분류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형태적으로는 트리카이트-아시큘러와 트리카이트-에스테로이달의 미세결정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한편 가덕도 흑요석은 분류결과 5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아시큘러, 마가라이트, 래쓰결정, 에스테로이달 등의 다양한 미세결정이분포한다. 백두산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 헤덴버자이트 내지 오자이트의 조성을 가지는 휘석으로 나타났으나, 가덕도 흑요석 내의 규산염 미세결정은 대부분이 애나이트 조성에 가까운흑운모이며 일부 마가라이트 형태의 미세결정은 훼로실라이트 조성의
[학술논문] 북한 주요 벼 재배지역의 기온과 일장 환경에서 품종의 출수 반응과 지역 적응성분석
...품종만 안전출수한계기까지 출수하였다. 6.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지역 사이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지역 환경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변화의 품종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7. 시험 대상 지역 환경의 변화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반응은 군집분석의 유사도 65% 수준에서 ① 진부올, 산호미, 선봉9, 진부, ② 백일미, 조품, 운광, 조평, 조생흑찰, 조운,오대, 해들, 온포1, 원산69, ③ 올벼1, 올벼2, Longdao5,Jijing88. Kenjiandao3, 평도15, Wuyoudao, ④ 아세미,진미, 평도5, 평양21, 평양43, ⑤ 길주1, Nongdae3, ⑥진옥, 소비, 하이아미, 대보, 신보, 선품, 알찬미, 삼광, 호품, ⑦ 청아, 새누리, 청품의 7개 군으로 구분되었다.
[학술논문] 북한 농업지대별 적응 벼 품종 선발
1. 시험품종의 형태적 특성은 중국 동북지방의 북한 접경 3 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키가 큰 장간종의 특성을 보인 국내품종은 월백, 한설, 보석, 신운봉벼1호 등이었고, 키가 짧은 단간종의 특성을 보인 품종은 설백, 조운, 산들진미, 진봉, 중산, 상주찰 등이었으며, 북한 품종은 길주1호, 원산69호 이었다. 3 개 지역에서 이삭추출이 불량한 품종은 한들, 중안, 중모1016 이었다. 2. 시험품종의 내재해성은 동항 시험지에서 발병한 흰잎마름병에 강한 반응을 보인 품종은 청백찰, 조평, 미품, 보석, 한들, 운미, 운광, 대진 등 품종과 통일형인 향미벼2호, 용주와 단기성 품종인 금오벼1호, 금오벼 2호, 만안, 수안등 15품종이었고 북한 품종은 평양21호가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훈춘시험지에서 발병한 목도열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