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랑군 출토 봉니의 진위에 대한 기초적 검토
...조선총독부박물관 주도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진위에 대한 의심이 끊이지 않았다. 이후 계속적으로 확인된 봉니들도 대다수가 발견품으로 신고되어 입수되었거나 고미술상을 통해 구입된 발견품이어서 진위의 논란은 계속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1930년대 위당 정인보는 '낙랑 봉니 위조설'을 제기하였고, 해방 이후 고조선의 재요녕성설에 입각한 북한 학계에서도 '낙랑 봉니 위조설'을 다시 주장하였으며, 1980년대 일본 학계의 반론이 이어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봉니의 진위는 印文의 내용과 印式의 시대적 특징, 인문의 관명과 印制, 봉니의 형태적 특징 등을 통해 판별이 가능한데, 본고에서는 먼저 봉니의 후면과 측면에 있는 세부 흔적으로 통해 봉함 방식을 복원하고, 이를 진위 판별의 단서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