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대내외 정치 상황에 대한 게임 이론적 분석
이 글은 북한을 둘러 싼 국제 정치 상황을 경제학의 게임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핵을 보유하게 된 북한과 이에 대한 한국 및 미국의 대응을 게임이론을 통하여 분석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의 대응에 따라 북한의 행동을 예상해 보려고 시도하였다. 또한 경제 상황이 어려운 북한 내부의 갈등 상황을 게임이론을 통하여 모형화함으로써 북한 내부로부터의 변화 가능성도 분석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북한 문제에 있어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과 북한의 관계를 모형화해 봄으로써 중국과 북한 사이에 향후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능성들도 고려해 보았다.
[학위논문] 북한 현실 경제의 변화 가능성 분석 : 시장과 소득을 중심으로
...북한의 계획 경제가 진화론적 게임이론 방법론을 이용한 분석에서 자율적인 시장에 의존하리라는 것과 북한 경제정책이 정치관계자들의 행동과 이해관계에 따라 장기적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예측의 틀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북한 현실 경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의 기존 경제 체제가 서서히 사라지고 결국에는 시장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며, 정부 상점은 공공장소의 명분으로 남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analyze the change possibility of the real economy of North Korea using evolutionary game theory methodology...
[학술논문] 북한 '장마당'의 변화과정에 대한 진화론적 분석
본 연구는 고전적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본질과 경제난 이후 변형된 본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북한 사회에서 경제활동의 중심지로 부상한 ‘장마당’의 진화과정을 진화론적 게임이론의 복제자동학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 번째, 1세대 경제체제에서 소비자는 ‘농민시장’이라는 명분의 장마당을 이용하는 순수한 소비자에서 생존을 위해 장마당을 이용하는 경제주체로 변화했다. 이런 현상을 북한 정부는 사회주의에 침투한 반사회주의 행동으로 간주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제를 강화하였으나, 매기에 장마당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지속해서 증가하는 현상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현재 북한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조건이 얼마나 취약하며, 예상치 못한 충격은 개방 시장 시스템으로 수렴하는 대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