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트레커의 참여동기, 웰니스,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북한산 국립공원 트레커를 중심으로 -
...방문하는 트레커의 참여동기와 웰니스가 의사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북한산 국립공원 트레커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00명의 표본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트레커의 자연성 참여동기는 영성적, 신체적, 정서적 웰니스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편리성 참여동기는 신체적 웰니스에만 영향관계가 나타났고, 영성적, 정서적 웰니스에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관계성 참여동기는 영성적 웰니스와 신체적 웰니스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정서적 웰니스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영성적, 신체적, 정서적 웰니스의 효과는 활동목적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러한 웰니스의...
[학술논문] 글로벌 대테러리즘 포럼(Global Counterterrorism Forum) 참여에 대한 한⋅일 비교
본 연구는 미국이 주도하는 대테러리즘 국제레짐인 GCTF에 일본은 참여하고 한국은 참여하지 않았던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국제레짐 이론에서는 국제레짐 자체의 수립과 쇠퇴를 설명하면서 개별 국가의 구체적인 이익(참여동기)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합리적선택론에서 볼 때 일본과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면서 공통적으로 테러위협 수준이 낮고, 대테러리즘 대응능력도 차이가 크지않다는 점에서 GCTF 참여에 대해 다른 선택을 한 원인을 설명하기 어렵다. 연구결과, 한국은 이명박 정부가 공언한 ‘성숙한 세계국가론’에도 불구하고 안보 영역에서는 실질적인 활동이나 역할이 없었으며, 한미동맹 차원에서 북한이라는 명시적인 적대국에 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GCTF...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정착하여 수년간 지속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참여 동기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동체의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 번째, 자원봉사 초기에 나타나는 현상은 개인적 가치로 나타났는데, 일시적인 행동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그 가치를 유지하고 있었고, 두 번째는 보상심리현상으로 보이는 자신이 받은 혜택을 지역사회로 환원하기, 세 번째는 일반 자원봉사 참여자에게 나타나지 않는 이타적 동기로서 가난한 사람에 대한 연대감이나 고통 받는 사람들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에서 겪은 경험과 연계되어 ‘관심’과...
[학술논문]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의 힐링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기대’의 4개 영역과 12개의 하위영역이 도출되었다.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에게 힐링의 의미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 돌봄과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새로운 힘을 얻는 것이다. 한 부모 북한이탈주민은 심신이완과 다양한 체험활동, 오감을 자극하는 동적 활동을 힐링 활동으로 선호하였다. 이를 통한 힐링 요인은 개인마다 다양하였고 힐링 효과로는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심신이 회복되며, 위로받고 힘을 얻으며, 자존감이 높아지고, 자녀와 더 친밀해지는 경험을 하였다.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긍정 정서의 확대, 이완 및 동적 활동의 기능적 측면에서 논의하였고, 참여 동기가 높은 대상자를 적극 발굴하고, 체험 위주의 힐링 활동이 구성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학술논문] 박사과정을 경험한 북한이탈여성들의 학습참여 동기 및 의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박사과정을 경험한 북한이탈여성들의 학습참여 동기 및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북한이탈여성들의 학습참여 동기는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으로 나타났다. 첫째, 이들의 학습지향의 시초는 북한에서부터 시작된 공부에 대한 갈망이다. 둘째, 이들의 목표지향은 삶의 목표가 공부를 지속하게 한 힘이고, 현실적 어려움을 이겨내고 자신만의 ‘로드맵’을 만든 것이다. 셋째, 이들의 활동지향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공부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었고, 활동과 공부를 병행하며 미래를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이들의 학습참여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를 향한 성찰의 여정이다. 이들은 자기 수양과 성찰을 통해 스스로를 위로하고, 목표를 재정비하고, 행복해지는 삶을 선택하고...